Page 105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05
디자인 더 깊이 건축의 팝 아트 ‘아키그램’
1960년대 영국을 풍미한 팝 문화를 반영하고 건축 분야의 팝 아트를 의미하
는 아키그램은 1960년대 영국에서 활동했던 건축 운동 집단의 이름이다. 쿠크
(Peter Cook), 웹(Michael Webb), 헤론(Ron Herron), 그린(David Greene)
등의 건축가들이 참여하였다.
1950년대 중반 근대 건축은 절정기를 맞이함과 동시에 그 시대를 대표했던
르 코르뷔지에, 미스 반 데어 로에 등이 세상을 떠나기 시작하면서 아키그램은
새로운 도약을 꿈꾸었다.
그들은 이미 꼭대기까지 도달한 모더니즘을 극복하고자 기술 문명을 적극 활
용하여 유토피아에 도달할 수 있다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고 ‘플러그인 시 ۞Ӓੋ द౭ ઑхب(1965년 작)
플러그인 시티는 플러그를 꽂아 작동하는 도시를
티(Plug-in City)’, ‘워킹 시티(Walking City)’, ‘인스턴트 시티(Instant City)’ 등 의미한다. ‘도시는 거대한 레인 위에 건축되며, 건
과 같은 진보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창의력의 한계에 도달한 물은 대개 이동하고 조립하기 편한 금속재로 만들
어진다. 인간은 건물을 이리저리 옮기기도 하고,
현대 건축에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상상은 당시 기술 수준이나 수명이 다하면 빼서 버릴 수 있다. 가령 욕조나
부엌은 3년 후에 폐기되고, 도로와 격납고는 20
상식적 잣대가 그들을 수용하지 못해 도면으로만 끝나고 말았다.
년마다 새로 끼워진다.’ 는 상상으로 이미지 작업
아키그램의 드로잉 작품들은 테크놀로지와 현대 대중문화, 대량 생산, 시간성, 을 하였다.
유토피아니즘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는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였다. 또한 건축
에 고도로 발달한 테크놀로지를 폭넓게 도입함으로써 현대 과학 기술 문명을 찬
양하고자 하였다. 여러모로 제한을 받으며 창조력이 고갈되었던 그 시대 건축가
들에게 아키그램은 돌파구를 마련해 주었으며 현대 건축가에게 많은 영향을 주
었다.
ۿ ۿ(Ron Herron/1930~1994/영국) ਕఊ द౭ - 거주자들의 욕구에 맞춰 거주 환경을 옮길 수 있는 ‘워킹 시티’(좌)의 드로잉은 파리 퐁피두 센터(우) 설계에 영향을
미쳤다.
3. 현대 디자인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