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03
6 핀란드 디자인
핀란드의 디자인은 1951년과 1954년 밀라노 트리에날레에서 이탈라(Iittala) 사가
출품한 유리 제품이 세계 관람객들의 찬사를 이끌어 내면서 주목받게 되었다. 이탈
라 사는 유리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여 핀란드의 험준한 바위와 빙하
의 형태를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1950년대 핀란드 디자인은 스칸디나비아 국가 중에서도 과감하고 모험적이었으
며 직물과 가구 분야에서 핀란드 디자이너 간에 경쟁이 치열하였다.
핀란드의 직물은 추상적인 모티브를 중심으로 강렬한 색채의 패턴을 사용한 점이 ই־ ಗ౭(Anu Penttinen/1974~
/핀란드) աߡ٘
특징이다. 전통 공예의 원리를 근간으로 디자인 작업을 한 스웨덴, 덴마크와 달리
자연의 소재와 유기적 형태를 디자인에 적극 활용하였다.
모던 디자인이 르 코르뷔지에와 바우하우스에 의하여 탄생하였다면, 핀란드의 정
체성을 담은 유기적 디자인은 알바 알토가 시작하여 미국의 많은 디자이너에게 영 링크
감을 주었다. • 유기적 디자인 양식 p.88
알바 알토는 누구인가?
알바 알토(Alvar Aalto/1898~1976)는 핀란
드 출신의 건축가이자 디자이너로서 스칸디나비
아 지역에서는 모더니즘의 아버지로 불린다.
인본주의 건축가로 널리 알려져 있는 알바 알
토는 자신이 태어나고 생활하여 훤히 알고 있는
핀란드 땅에서 많은 영감을 얻어 핀란드 특유의
재료와 환경을 고려한 독자적인 조형 양식을 구
축하였다.
사보이 꽃병은 핀란드의 국토 모양을 형상화
하여 만든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그의 작품을
보면 대부분이 생물학적 변화와 인간 환경 속에 য় (66×60.3×87.6cm/
서 발견되는 요소를 일정한 법칙에 얽매이지 않 1932년 작) - 좌석과 등받이가 일체로
고 유기적인 곡선을 사용하여 부드러운 이미지 된 파이미오 의자는 결핵 요양소의 의뢰
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를 받고 디자인한 작품으로, 환자들에게
나무에서 느끼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전
또한 자작나무와 너도밤나무 등 핀란드산 목재
달하고자 합판을 구부려 제작하였다. 이
를 건축과 가구의 소재로 사용하여 따뜻한 감성
작품은 기능주의에서 탈피하여 인간을
을 느끼게 해 준다. 생각한 유기적 디자인의 상징물이다.
ࢎࠁ Ԣ߽(유리/28.9×
30.5×27.9cm/1936년 작)
߮ פ(Bent Knee) ӝߨ(1933년 작) -
‘구부러진 무릎 기법’이라 불리기도 한다. 자작나
무를 결대로 켜서 홈 사이에 얇은 나무 조각을
우리나라 특유의 재료와 환경을 고려한
아교로 붙여 원하는 각도로 구부리는 방법으로,
독창적인 조형 양식에는 무엇이 있을까? 90도까지 휘어진다.
3. 현대 디자인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