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0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00









3 독일 디자인


독일 디자인의 특징은 기술이 뒷받침된 산업과 예술에 의한 ‘기계 미학’이다. 실용 하나 더 알기
성과 기능성에 바탕을 둔 장식 없는 단순한 모더니즘적인 디자인을 독일에서는 ‘아 독일 디자인의 특징
•실용성과 기능성
름답다’라고 말한다. •절제된 양식
이러한 양식은 독일 공작 연맹과 바우하우스를 거쳐 울름 조형 대학을 근간으로
DIN 서체
발전하였다. 울름 조형 대학은 가전제품 회사인 브라운 사와 손잡고 사용자 관점에 ‘Deutsche Industrie-Norm’의 약자
로 ‘독일 공업 규격’을 의미한다. DIN
서 불필요한 것이 없도록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모던 디자인의 이상을 브라운 사의 서체는 독일의 공식 서체이다.
핵심 디자이너인 디터 람스의 디자인 철학으로 구현하였다.

독일 디자인의 간결함과 편리성은 타이포그래피에서도 나타난다. 1905년에 프루
시안 철도 회사가 화물 트럭의 표시를 통합하기 위하여 개발한 DIN 서체는 쉽게 읽
혼동하기 쉬운 대문자 아이(I)와 소
히고 아름다워 1936년부터는 ‘DIN 1451’ 서체를 도로 시안 및 공공 영역에서 활용 문자 엘(l)을 구별하기 쉽도록 소문
자 엘의 꼬리 부분을 구부려 가독성
하였다. 독일의 표준 서체 ‘DIN’은 독일을 포함한 유럽 교통 표지판에 널리 사용되 을 높였다.
었으며 현대적인 형태로 변형되어 제트블루 항공사와 버밍엄 대학교 등의 로고로
사용되고 있다. 링크
• 굿디자인 p.24

















(Dieter Rams/1932~ /झۈఠ ٣࠺ౣ(1938년 작) - 아돌프 히틀러의 국민차 개발 Ѳ߄झ‘DIN 1451’ 서체가 적용된 도로 표지판 ಩
(1962년 작) -ӝبݶ਍ ࢎ ۄ계획에 따라 페르디난트 포르셰가 디자인한 자동차. 독일 모 독일) ࠳
더니즘을 대표하며 실용적이며 간결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단순화, 기능화, 흑과 백의 기본에 충
실한 실용적인 제품으로 크기는 성
인 남자가 한 손으로 완벽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인간 공학적으로 디자인
되었다.

디자인 더 깊이 디터 람스의 좋은 디자인 10계명


디터 람스(Dieter Rams, 1932~ )는 독일의 산업 디자이너로서 30년 동안 브라운 회사의 수석 디자이너를 지냈다. 미니멀
리즘의 선두 주자로서 애플의 디자인 철학인 “레스 이즈 모어(Less is more, 덜한 것이 더한 것이다)”라는 말을 창시하였다.

•좋은 디자인은 혁신적이다. • 좋은 디자인은 불필요한 관심을 끌지 않는다.
•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유용하게 한다. •좋은 디자인은 오래 지속된다.
•좋은 디자인은 아름답다. • 좋은 디자인은 마지막 디테일까지 철저하다.
•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이해하기 쉽도록 한다. •좋은 디자인은 환경 친화적이다.
•좋은 디자인은 정직하다. • 좋은 디자인은 할 수 있는 한 최소한으로 디자인한다.

98 Ⅱ. 디자인의 역사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