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99









2 이탈리아 디자인


이탈리아는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예술과 르네상스 예술이 부흥한 유럽 문 하나 더 알기
화의 중심지이다. 영국의 미술 공예 운동, 프랑스의 아르 누보, 오스트리아의 시세 이탈리아 디자인의 특징
•개성 위주의 디자인
션, 독일의 독일 공작 연맹과 바우하우스를 거쳐 다양한 디자인 운동이 유럽 전역에 •역사적 유산을 계승한 디자인
•수공예를 산업화한 디자인
서 활발하게 일어났을 때, 이탈리아는 독자적인 문화를 지키면서 타국의 디자인 양
식을 수용하여 자신들의 것으로 변화시켜 나갔다. 그로 인하여 산업화가 늦어졌지만

덕분에 오랜 기간 장인 기술과 공예 정신을 지속시켜 나갈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이
탈리아의 디자인이 세계로 뻗어 나가는 데 장점이 되었다.

이탈리아의 디자이너들은 기업에 속하
지 않고 개인 또는 그룹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적이고 개성있는 디자이너로서 역량

을 발휘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에 개
성이 담겨 있고 순수 예술 작품이 연상되
는 다품종 소량 생산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반 위에 표현된 대담성 ݃ܰ௏ ੗־ࣗ(Marco Zanuso/1916~2001/이탈리아) ۨ
੉٣ উۅ੄੗(1951년 작) - 발포 고무와 탄성 고무 띠라
과 독창성, 개방성은 논란의 대상이 되기 는 새로운 재료를 실험한 제품으로 당시 이탈리아 전 지
역의 가정에서 유행하였다. ীషۨ ࣗ౟ࢎझ(Ettore Sottsass/
도 하였지만 새로운 유행을 창출하였고 1917~2007/이탈리아) ৢܻ߬౭ ߊ۪
ఋੋ ఋ੗ӝ(1969년 작) - 사무실뿐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만 아니라 어느 장소에서나 어울릴
수 있도록 디자인한 작품이다. 가벼
제2차 세계 대전 후, 이탈리아 디자인은 비코 마지스트레티, 에토레 소트사스, 마 운 ABS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한 것
은 새로운 소재로 제작한 타자기의
르코 자누소 등 신세대 디자이너들의 출현으로 도약의 발판을 만들었다. 역사를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독일식 기능주의를 거부하고 형태를 강조하는 표현적인 사업은 현대 문화와 융합
되면서 이탈리아 디자인을 번창하게 해 주었고, 소규모 공방에서 이루어진 생산 기

반은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적응할 수 있게 해 주었다.






















஖दఎܻই 202GT(1947년 작) - 피닌파리나 사가 디자인한 자동차. 뉴욕 현대 미술관에 전시되 ߬झ౵ - 1946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젊은 층
어 있으며 세계 최초로 단판 경량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였다. 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최초의 이륜차이다.

3. 현대 디자인 97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