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11










2 우리나라의 현대 디자인

우리나라 디자인 역사를 통해 우리가 추구해야 할 디자인의 방향은 무엇일까?




1970년대 우리나라는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생활 양식이 많이 변화하였
다. 급속한 도시화, 핵가족화, 가전제품과 아파트 붐, 자동차 산업 등은 우리 사회를

급속하게 대중 소비 사회로 변화시켰다.


1 우리나라 디자인의 발전(1970~1980)


1970년대부터 1980년대는 우리나라의 디자인이 국제 무대에 알려지기 시작한 시
기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디자인적 자질을 세계인이 인식하게 되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해외 디자이너들이 각종 회의에 초청받아 내한하고 작품을 국내에 전시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디자인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1970년대 디자인

1970년대는 경제 성장을 위하여 디자인 분야가 중추적 역할을 시작한 시기이다.
1974년에는 기업이나 학계가 독창적인 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디자인이 발

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1976년에 이탈리아 디자이너 주지아로가 디자인한 현대자동차
의 포니 승용차가 국내에서 성공함으로써 우리나라는 자가용 시대를 맞이하였다.
1976년에는 <월간 디자인>이 창간되어 국내 디자인의 체계적인 정보 수집과 확산

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해 ‘디자인’과 ‘산업 디자인’이라는 용어가 법적인 지위를 가
지게 되면서 1977년부터는 ‘대한민국 상공 미술 전람회’가 대통령령에 의하여 ‘대한
ઑ৔ઁ CI ѐߊ OB बߥ(1974)
민국 산업 디자인전’으로 바뀌어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를 높여 주었다.
1976년 ‘조영제 데코마스’ 사례전은
우리나라 CI디자인 개발의 시발점이
되었다.















한국의 장독 형태를 닮은 배불뚝이 같은 특이
한 형태의 바나나맛 우유는 출시된 1974년부터 1974년 10월에 열린 제55회 토리노 모터쇼에 성공적으로 데뷔한
현재까지 소비자에게 인기가 높은 한국의 대표적 자동차이다. 1976년 2월에 울산 공장에서 첫 출고되었으며 당시 국내 <월간 디자인> 창간호 표지 디자
인 패키지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 점유율이 43.6%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얻었다. 인(1976년 작)

4. 우리나라의 디자인 109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