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5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15









3 우리나라 디자인의 성숙과 도약


우리나라 디자인계는 2000년 국제 그래픽 디자인 단체 협의회(ICOGRADA) 밀 하나 더 알기
레니엄 서울 대회, 2001년에는 세계 산업 디자인 단체 협의회(ICSID) 총회, 2002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수용자가 단순히 보고 듣기만 하는
년에는 한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국제화 시대에서 세계화 시대로 들어 일방통행식 미디어가 아니라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제작되어 상호 작
서게 되었다. 용성이 강조되었다.
세계화 시대로 들어선 2000년대 우리나라 디자인의 가장 큰 특징은 디지털 기술

과 미디어 산업의 발전이다. 정보 통신 시스템이 몰고 온 활발한 디지털 커뮤니케이
션의 흐름은 웹 디자인을 부흥시키는 계기가 되어 인터넷 쇼핑몰, 웹진, 인터넷 광고

등 새로운 디자인의 가상 세계를 열었다.
인터넷 게임, 디지털 영상, 애니메이션으로 세계화 흐름 속에 있는 우리나라의 디
자인은 ‘디자인과 예술의 융합’,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이라는 타
학문과의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산업을 성장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를 위한 디자인을 하는 데
힘을 모으고 우리나라 고유의 특
성을 살릴 수 있는 디자인과 콘

텐츠를 개발하는 일은 우리나라
޷ې ٣੗ੋ ਲ਼೤ ࣃఠ -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곧 경쟁력으로 이어
강남대로 미디어 폴
지는 21세기에 맞춰 산업 통산 자원부와 한국 디자인 진흥원이 경상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남도 양산에 설립하였다. 융합을 통하여 우리 산업의 미래를 제시하
고 K-디자인과 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목적으로 건립하였다.









2015년 K-디자인 어워드 수상작
이다. 시각 장애인은 중앙의 숫자로
남은 거리를 알 수 있고, 비장애인은
통행 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사
회적 디자인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ࣁ҅ ਬҮ · ࢶ࠺ ޙച ҕਗ - 2018년 준공을 목표로 경북 안동시에 조성되는 복합 휴양형 에듀테인먼트 공간. 세계 유
교를 360도 파노라마 기술과 다양한 IT 기술을 접목한 멀티 공간 시스템을 통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4. 우리나라의 디자인 113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