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14
2 우리나라 디자인의 성장(1990)
하나 더 알기
1970년대부터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진 우리나라의 디자인은 1990년대에 들어서
대전 엑스포
국가의 집중적인 지원을 받으며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93년에는 우리나라 최초 1993년 8월 7일부터 11월 7일까지
93일 동안 ‘새로운 도약에의 길’이
의 국제 박람회인 대전 엑스포가 개최되었고, 상공 자원부에서는 ‘디자인의 날’을 제
라는 주제로 열렸다. 국제 박람회인
정하였다. 만큼 많은 디자이너가 참가해 다양
한 디자인 제작물을 선보였다.
디자인 세계화 시대를 인지한 언론 매체는 디자인 기획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
여 디자인의 효용성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켜 국민이 디자인을 경제 수단뿐만 아니
라 문화로서 받아들이게 하였다.
디자인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1990년대 정보화 시대와 맞물려 영상 디자인 시대
의 개막을 이끌었다. 1999년에는 처음으로 ‘Korea, 5000 Years Young’이라는 주
제의 한국 홍보 영상물을 제작해 전 세계로 송출하였다. 또한 신문이 세로쓰기 편집
에서 가로쓰기 편집으로 전환한 것은 편집 디자인의 개념을 신문에 도입하는 계기
가 되었다.
1990년대의 또 다른 특징은 1960~70년대에 유행한 포스트모더니즘이 국내에 소
개되면서 많은 디자인 제품에 장식적인 조형 언어가 사용된 것이다. 1991년 컴퓨터
용으로 개발된 안상수체는 한글의 제작 원리를 충실하게 반영하여 조형적 완성도가
높은 탈네모틀 글꼴의 서체이다. 안상수체는 한글 프로그램과 디자인 그래픽 프로
그램의 기본 서체로 등록되어 컴퓨터 디자인 시대를 맞이한 우리나라의 디자인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링크
• 포스트모더니즘 p.94
1985년에 안상수가 설계하고 1991년 컴퓨터로 재현된 탈네모틀 탈네모틀 글꼴이 적용된 영화 <접속> 포스터
글꼴은 당시 붐을 일으켜 많은 디자이너가 사용하였다.
112 Ⅱ. 디자인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