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1 고등학교 디지털 논리 회로 교과서
P. 101











불 대수
A는 B이다.
 고양이는 동물이다.
참(true) → 1
거짓(false) → 0
으로 표현한다.



인간의 사고 명제 비교 · 판단 수학적인 방법으로 표현
그림 Ⅳ- 1 불 대수의 정의


즉, ‘참’과 ‘거짓’을 ‘1’과 ‘0’으로 치환하고, 덧셈과 곱셈(+, ×) 같은 대수학의 기호를 논리 연산
연산의 대상 및 결과가 참과 거짓
각각 ‘또는(OR)’,‘그리고(AND)’와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논리 연산이 가능하다는 것
두 개의 값 중 하나를 취하는 연산
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응용하여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에 활용하고 있다. 이다.
조지 불 이후에 미국의 섀넌(Claude Shannon, 1916~2001)이 전기적인 스위치

회로가 on, off의 두 가지 상태로 되는 것을 논리식으로 나타내었으며, 이것이 디지털
논리 회로의 기본적인 이론으로 사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불 대수는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시스템의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왜냐하면 높은 전압과 낮은 전압의 두 가지 값으로 이루어지는 논리 회로
의 동작 과정을 잘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불 대수는 디지털 회로의

기능을 수학적인 논리학으로 표현하는 데 활용된다.

ON 1 ON 1
표 Ⅳ-1 각 논리 상태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태 표현 방법
1bit 1bit 참 = 1 = on = high를
논리 1 논리 0 의미해요.
OFF 0 OFF 0
참 거짓
on off

1
0
0
0
1
1
high 레벨(5V) 1 0 1 0 1 0 low 레벨(0V) 0 1 ON 0 1 1
1bit
8
8
표현할 수 있는 개수 2 =256 표현할 수 있는 개수 2 =256
ON 1 OFF 0
1bit bit bit
0 0 1 OFF 1 0 0 1 0 1 0 0 1 1 0 1 0 1
1로 연산이 이루어지며, 일반 대수와 달리
불 대수는 참 또는 거짓의 두 가지 값만으 1Byte (8bit) 1 0 1
1Byte (8bit)
1
0
0
0
8
1과 0, 두 개의 값만을 취할 수 있다. 표현할 수 있는 개수 2 =256
0 1 0 1 0 1 0 1
bit
0
1
0
1
1
0
8
표현할 수 있는 개수 2 =256 24p 디지털신호와 정보 0 1
24p 디지털신호와 정보
bit 1Byte (8bit)
더 알아보기 0 0 정논리와 부논리
0
1
0
1
1
1
1Byte (8bit)
24p 디지털신호와 정보
논리 변수를 전자 회로 상에서 사용할 때, 그 값은 회로의 입출력 단자나 전선 상에 나타나는 특정 전압 레벨의
24p 디지털신호와 정보
상태를 나타낸다. high 레벨(5V)일 때 논리는 1, low 레벨(0V)일 때 논리는 0이다. 이러한 논리 개념을 정논리
(positive logic)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low 레벨(0V)일 때 논리는 1이고, high 레벨(5V)일 때 논리가 0인 개념
을 부논리(negative logic)라고 한다. 관례로 정논리에 기초를 두고 회로를 설계하고 해석한다.
1. 불 대수 99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