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3 고등학교 디지털 논리 회로 교과서
P. 153
더 알아보기 직렬 가산기
직렬 가산기의 연산 과정
직렬 가산기는 1개의 전가산기로 구성되어 있어 첫 번째 비트부터 최상위 비트까지 한 번에 한 자리씩 피연산
자에 대응하는 연산자를 더하는 가산기이다. 4비트의 수를 연산하기 위한 4진 직렬 가산기의 연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
C04 C03 C02 C01
A3 A2 A1 A0
+ B3 B2 B1 B 0
C04 S3 S2 S1 S0
A0 + B0 A1 + B1
S → S →
A0 합 S0 A1 합 S1 S0
전가산기 전가산기
B0 B1
0 입력 자리 출력 자리 C01 → A0 + B0의 자리 올림수 C01 입력 자리 출력 자리 C02 → A1 + B1의 자리 올림수
올림수 올림수 올림수 올림수
메모리 메모리
(a) 첫째 자리의 덧셈 (b) 둘째 자리의 덧셈
A2 + B2 A3 + B3
S → S →
합 합
A2 S2 S1 S0 A3 S3 S2 S1 S0
B2 B3
전가산기 전가산기
C02 입력 자리 출력 자리 C 03 → A 2 + B 2의 자리 올림수 C03 입력 자리 출력 자리 C04 → A 3 + B 3의 자리 올림수
올림수 올림수 올림수 올림수
메모리 메모리
(c) 셋째 자리의 덧셈 (d) 넷째 자리의 덧셈
직렬 가산기의 장단점
병렬 가산기는 여러 개의 전가산기로 구성되어 있어 피연산자와 연산자를 한 번에 입력하여 합을 구하는 논리
회로인데 반해, 직렬 가산기는 1개의 전가산기로 덧셈을 수행한다. 이러한 직렬 가산기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 •전가산기 1개로 구성되어 회로가 간단하다.
• 시프트 레지스타 및 시프트 동작 제어 등의 회로가 더 필요하다.
단점
• 덧셈 동작이 완료되기까지 병렬 가산기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3. 병렬 가산기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