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고 경제 평가
P. 25
3. 수행 평가 과제 개발하기
실제적인 맥락 통합적인 사고 능력 가치 있는 경험 비구조화된 문제
실생활에서 발생할 다양한 지식, 기능, 수행 평가 과정에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수 있는 문제 상황 태도를 통합적으로 학습과 성장의 기회 다양한 시도와 노력
을 반영한 과제 활용할 수 있는 과제 를 제공하는 과제 을 할 수 있는 과제
•수행 평가 과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교과협의회(학년협의회)에서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 기준, 학
생 수준 및 특성, 성취 수준 등을 분석한다. 그리고 실제적인 맥락, 통합적인 사고 능력, 가치 있는
수행 평가 과제 설계 경험, 비구조화된 문제 등의 수행 평가 과제 특성을 고려하여 문제 상황을 결정한다.
•토의·토론 수업, 협동 학습, 프로젝트 수업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참고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 한 시간, 참여 방법, 산출물의 형태 등을 고려한 세부 과제를 작성한다.
수행 평가 과제 수행 평가 과제를 개발한 후에는 교과협의회(학년협의회)를 통하여 성취 기준 적합성, 평가 방법의
검토 및 설계 타당성, 평가 시행 가능성 등을 공동으로 검토하고 수정한다.
수행 평가 과제 확정 교과협의회(학년협의회)를 통하여 검토하고 수정한 후에는 수행 평가 과제를 확정한다.
수행 평가 과제를 개발할 때에는 수행 평가의 특징이 제대로 반영된 것인지 논의해야 한다. 그리고
수행 결과뿐 아니라 과정에 초점을 두고 평가할 수 있는지, 수행 평가 과제가 수업의 일환으로 가
교과협의회 능한 것인지 검토해야 한다. 또한 성별, 지역, 문화적인 측면에서 특정 학생에게 유리하거나 불리
논의 사항
하지 않은지, 학생의 참여 동기와 흥미를 고려하였는지, 학교의 여건에서 실행 가능한 것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점검 사항
•수행 평가 과제가 실제적인 상황에서의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는가?
•수행 평가 과제가 분석력, 종합력, 비판력 등의 종합적인 고등 사고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적절한가?
•수행 평가 과제가 학생이 수행 평가에 참여하는 동안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는가?
•수행 평가 과제가 학생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형태의 과제로 개발되었는가?
•수행 평가 과제가 수업 내용과 관련이 있고, 수업의 일환으로 가능한 것인가?
•수행 평가 과제가 성별, 지역, 문화적인 측면에서 특정 학생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하지 않은가?
•수행 평가 과제가 학생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학생의 참여 동기와 흥미를 고려한 것인가?
•수행 평가 과제는 공간, 장비, 시간, 비용 등의 요소를 고려할 때 충분히 실행 가능한가?
4. 수행 평가의 실제 23
(고경제) 2015 평가의 모든것 내지.indd 23 2018-06-22 오후 6:5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