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고 경제 평가
P. 26












4. 수행 평가 채점 기준 개발하기

•채점 기준이란 수행 평가의 대상이 되는 수행 과정이나 산출물의 질을 구별하기 위한 일련의 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채점 과정에서 채점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기 때문에 채점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는 채점 기준이 반드시 필요하다.
•채점 기준과 함께 예시 답안을 만들면 평가 도구의 적절성을 검토할 수 있고, 이후 실제 채점 과정에서도

보다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채점을 진행할 수 있다. 예시 답안 개발이 어려울 경우 채점 기준을 최대한
상세하게 작성하면 수행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채점 기준에 반영해야 할 요소

① 수행 평가 과제 수행의 판단 준거인 지식, 기능, 태도의 구체적인 평가 요소
② 성취 수준의 준거를 평정하기 위한 평가 요소별 척도(배점)
③ 평가 요소에 근거하여 학생의 수행 수준을 구별할 수 있는 세부적인 내용  




•채점 방식에는 총체적(holistic) 채점과 분석적(analytic) 채점이 있다.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을 함께 사
용하면 수행 평가의 가치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구분 총체적 채점 분석적 채점

학생의 수행 과정 혹은 결과물에 대해 개별적인 평가  학생의 수행 과정 혹은 결과물에 대해 평가의 범주를 
요소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전체적인 과정 혹은 결과 구분하고 각 범주별로 수행 능력을 기술한 후, 그 기준
정의
물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하는 방식 에 맞추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합산하여 학생의 수
행 능력을 판단하는 방식



•산출물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을 바탕으로 전체 요소 •학생의 강약점에 대한 교사의 진단적 분석 용이
의 단일 점수 산출  • 학생의 학습 활동을 점검, 개선할 수 있는 형성적 피
•학생의 성취도를 등급으로 분류하거나 순위를 구별 드백 제공 
특징
할 때 유용  •채점자 간 일관된 채점이 가능하나 채점 시간이 많이 
•학생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 소요됨.
는가에 대한 정보 제공 한계 





수행 준거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평가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과협
교과협의회
의회 등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과 시행할 수행 평가의 내용을 고려해 볼 때 수행 준거가
논의 사항
적절한 진술과 요소를 포함하고,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점검 사항
•채점 기준이 성취 기준에서 요구하는 도달 목표에 맞게 제시되었는가?
•채점 기준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장과 발달 과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는가?
•채점 기준은 학생의 결과 산출 혹은 응답 수준을 변별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는가?
•채점 기준에는 수행 평가 과제 유형에 적절한 평가 요소, 배점, 세부 내용 등이 제시되었는가?
•채점 기준을 미리 학생 및 학부모에게 안내하였는가?



24 Ⅰ.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과정 중심 평가







(고경제) 2015 평가의 모든것 내지.indd 24 2018-06-22 오후 6:59:37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