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고 경제 평가
P. 27
5. 수행 평가 실시 및 채점하기
•교수·학습과 연계한 수행 평가를 실시하기 전, 교사는 사전에 학생들에게 수업의 흐름과 내용, 수행 평가
과제, 채점 기준 등을 안내한다. 사전 안내를 통해 학생은 성취 기준을 인식할 수 있고 수행 평가를 준비할
수 있다.
•교수·학습과 연계한 수행 평가를 실시하면서 교사는 학생의 수행 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
다. 이때 교사의 평가뿐만 아니라, 학생도 자기 평가나 동료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예시 교수·학습과 연계한 수행 평가 실시
▶ [고등학교 정보] 협력적 활동으로 배우는 가계, 기업, 정부의 경제활동
수행 평가
단계 교수·학습
평가 활동 평가의 주안점
수행 평가 과제 1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경제 활
1차시 •생활 속 경제 활동 탐색하기
<협동 학습> 동을 유추할 수 있는가?
(교사 관찰 평가, 자기 평가)
•소득을 가지고 저축과 소비를
수행 평가 과제 2 하는 가계의 경제 활동에 대해
•한정된 소득으로 가계의 경제 활
2차시 이해하고 저축과 소비가 경제에
동 선택하기 <토의 토론 학습>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있
(교사 관찰 평가, 동료평가)
는가?
•생산의 주체로서 기업의 역할과
수행 평가 과제 4
•함께 만드는 이야기로 기업의 역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4 ~ 5차시
할 이해하기 <협동 학습> 기업가 정신을 제시할 수 있는
(교사 관찰 평가, 동료평가) 가?
•‘상, 중, 하’ 또는 3점, 5점 등의 척도로 점수를 부여할 때에는 각 수준이나 점수 간의 변별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5점과 4점, 4점과 3점 중에서 어떠한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채점 기준을 토대로 하여 전문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 평가는 학생의 수행 과정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행 평가 과제를 개발하고 채
점 기준을 개발할 때 교사가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들의 수행 과정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학생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자료를 다각적으로 수집하여 학생의 성장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
행 평가의 계획 단계에서 평가의 목적과 수행의 성격, 시간 등의 현실적 여건과 평가 맥락에 따라 기록 방
법을 선택하고, 결정하여 미리 기록지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채점이 완료되면 학생에게 채점 결과를 공개하고 이의 신청·처리·확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학생이 평가
결과에 대한 이의를 제기한 경우 면밀히 검토하여 학교 학업성적관리위원회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4. 수행 평가의 실제 25
(고경제) 2015 평가의 모든것 내지.indd 25 2018-06-22 오후 6:5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