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2
P. 212
(2) 제조 전략에 따른 분류
제조 전략에 따른 분류는 고객의 주문이 제조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 이루어지는지
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주문·예측·주문 조립·주문 설계 생산 전략 등이 있다.
대부분의 공작 기계 업체들이 따르고 있는 생산 전략으로, 고객의 주문이 들
주문 생산 전략
(Make to Order) 어오면 원자재의 가공, 반제품의 생산 및 조립이 이루어지는 형태
공작 기계 등
예측 생산 전략 완제품을 재고로 가지고 있다가 고객의 주문에 맞추어 공급하는 전략으로, 소
(Make to Stock) 품종 대량 생산에 유리한 형태 에어컨, 보일러 등
반제품을 재고로 가지고 있다가 고객의 주문에 맞추어 조립하여 제품을 공급
주문 조립 생산 전략
(Assemble to Order) 하는 전략으로, 옵션이 많고 고가 제품에 적합한 형태
자동차 등
주문 설계 생산 전략 고객의 주문이 들어오면 제품의 기획 단계부터 시작하여 자재 구입 및 생산,
(Engineering to Order) 조립을 하는 전략 항공기, 선박, 금형 등
풀 시스템(Pull System)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생
주문 생산 전략과 예측 생산 전략 비교 산하는 것으로, 생산 라인의 유연
성이 강조된다.
구분 주문 생산 전략 예측 생산 전략
푸시 시스템(Push System)
운영 방식 고객 주문 수요 예측
계획대로 생산 시스템을 밀고 나가
운영 시스템 풀 시스템 푸시 시스템 는 것으로, 생산 라인이나 시설 배
치 등이 사전에 확정되므로 수요
주요 관심 대상 납기 준수 수요 예측, 생산 계획, 재고 관리
변화 시 생산의 유연성이 적다.
스토리 4차 산업 혁명
ERP
2016년 1월 스위스에서 열린 “2016 다보스포럼”에서는 빅 데이터와 사물 인터넷(IoT), 인
공지능(AI) 등을 기반으로 물리·디지털·생물학 기술의 경계를 허무는 ‘4차 산업 혁명’이
주요 의제로 논의되었다.
변화는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에서부터 시작되는데, 흔히 ‘공장’ 하면 컨베이어 벨트 앞에
늘어선 근로자 또는 기계가 부품들을 조립하는 모습이 떠오른다. 그러나 이런 선형적 생산
방식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찾아보기 힘들 전망이다. 컨베이어 벨트 위에 있던 부품들
은 스마트카트에 담겨 스스로 다음 공정을 찾아 이동한다. 이른바 모듈별 공정으로, 모든
부품과 공정 기계가 사물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기술이 기반이 된다.
자원의 낭비는 최소화된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특정 기계가 고장 나면 라인 전체가 멈추었다. 그러나 이제는 모듈별 공정에서 한 기
계가 고장 나면, 부품을 담은 스마트카트는 다른 기계 또는 공정을 스스로 선택한다. 모든 기계와 부품이 통신을 주고받으며 최적의
생산 방식을 찾아 효율적으로 움직인다. 여기에 AI가 탑재된 각 공정 기계는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징후를 인
식하고 스스로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낸다.
- 출처: 국민일보, 2016. 9. 18, 내용 발췌
210 Ⅳ. 생산 관리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4(206-239)-0515.indd 210 2017-07-17 오후 12: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