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6
P. 216









(3) 주 생산 계획

주 생산 계획 (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은 주 또는 일별로 생산해야 할 구 ERP TIP
주 생산 계획의 필수 요건
체적인 제품 수량을 나타낸 것을 말하며, 단기 생산 계획 또는 기준 생산 계획이라고
•기간별 소요량(예측치)
한다. 주 생산 계획은 생산 계획, 수주, 납기를 기초로 생산 일정, 작업 순위, 작업 할당 •현재 재고량
•주문 정책
등에 이용되며, 개별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부품이나 원자재의 소요량 및 소요 시기

등을 결정하는 근거이다.
① 자재 소요 계획

자재 소요 계획은 주 생산 계획을 토대로 제품 생산에 필요한 부품과 원자재의 종류,
수량, 주문 시기 등을 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② 일정 계획 ERP TIP
일정 계획의 특징
일정 계획 (Scheduling)은 매일매일 수행해야 할 작업을 선정하고, 이들 작업의 우선 •아무리 작은 시스템이라도 일정
순위를 정하여 정해진 시간에 생산되도록 계획하는 것을 말한다. 과 작업의 우선순위가 있다.
•이론적으로 준비된 조건과 데이터
일정 계획 수립 방법에는 적시 생산 방식 (JIT, Just in Time), 전진 일정 계획, 후진 일정 를 전제로 어떤 조합이나 순번이
최적인가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계획 등이 있다.


 일정 계획 수립 방법

필요한 것을 필요한 때 필요한 만큼 만드는 생산 방식으로, 원재료의 재고가
적시 생산 방식
발생하지 않음.
현재 착수일을 기점으로 앞으로 나아가면서 납기일을 정하는 일정 계획
전진 일정 계획
 자동차 등
미리 납기일을 정한 다음 뒤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각 공정의 착수일을 정하는
후진 일정 계획
일정 계획



③ 능력 소요 계획
능력 소요 계획은 기업의 현재 생산 능력을 맞추기 위하여 자재 소요 계획과 공장

생산 능력을 조화시켜 작업장의 시간대별 소요량을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ERP 충전소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SCM은 공급망 전체를 하나의 통합된 개체로 파악하고, 이를 최적화하려는 목적으로 실시간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여 신속하고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런
SCM은 프로세스 관점에서 전체적인 최적화를 추구하는 BPR(Business Process Re-
engineering)과 유사한 점이 있지만, 공급망 전체를 최적화한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214 Ⅳ. 생산 관리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4(206-239)-0515.indd 214 2017-07-17 오후 12:02:23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