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7
P. 217
2 공정 관리
기업은 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 생산 능력에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생산성 공정
원재료를 투입하여 제품이 만들어
향상을 위해서는 수립된 생산 계획에 따라 제품을 만들고, 가공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지는 데 필요한 모든 작업 과정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공정 관리 활동이 필요하다.
1 공정 관리의 이해
공정 관리는 원재료가 최종 제품이 되기까지 자재, 부품 및 완제품의 조립 등 작업 ERP TIP
공정 분석 기호와 해석
순서와 일정 및 작업 할당을 효율적으로 계획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모든 생산 활동을
기호 해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 작업(가공)
∇ 저장(보관)
공정 관리의 기능에는 계획 기능, 통제 기능, 감사 기능 등이 있다. □ 수량 검사
◇ 품질 검사
⇨ 운반(이동)
생산 계획을 통칭하는 것으로 공정 계획을 행하여 작업 순
서와 방법을 정하고, 일정 계획을 통하여 공정별 부하를 ERP TIP
계획 기능
고려한 개별 작업의 착수 시기와 완성 일자를 결정하여 납 공정 관리의 목표
기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납기의 이해 및 단축
•반응 시간의 최소화
•생산 및 조달 시간의 최소화
•준비 시간의 최소화
계획 기능에 따른 실제 과정의 작업 배정, 여력(능력) 관리, •대기 및 유휴 시간의 최소화
통제 기능
진도 관리 등을 하는 기능 •공정 재고의 최소화
•기계 및 인력 이용률의 최대화
•생산 비용의 최소화
계획과 실행의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차이를 찾아내고 그
감사 기능 원인을 분석하여 적절히 조치하여 개선해 나감으로써 생
산성을 향상시키는 기능
ERP 충전소 작업의 우선순위 고려 원칙
작업 순서를 정할 경우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납기 우선순위: 납기가 가장 급박한 순서부터 작업한다.
•선입 선출(FIFO): 작업 지시가 먼저 이루어진 것부터 작업한다.
•최단 가공 시간: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은 것부터 작업한다.
•최소 공정 수: 최소 공정 수를 가지는 것부터 작업한다.
•잔여 작업당 여유 시간: 잔여 작업당 여유 시간이 가장 적은 것부터 작업한다.
• 긴급률(Critical Ratio) 규칙: 긴급률은 현재부터 납기일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잔여 처리 시간으로 나눈 것으로, 그 값이 적은
수치부터 작업한다.
2. 생산 계획과 통제 215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4(206-239)-0515.indd 215 2017-07-17 오후 1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