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44









1 적층형

적층형은 층층히 재료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첨가형 또는 쾌속 조형 방식이라 TIP
3D 프린터의 재료
고도 한다. 석고나 나일론 등의 가루나 플라스틱 액체, 플라스틱 실 등을 종이보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3D 프린터
얇은 0.01~0.08mm의 층으로 겹겹이 쌓아가며 입체 형상을 만들어 낸다. 적층형은 의 재료는 플라스틱이다. 3D 프린터
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실 형태로
채색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재료의 낭비가 없다. 만들어 놓은 것을 필라멘트라고 하
는데, 일반적인 FDM 방식의 프린터
2 절삭형 에 사용 되는 재료는 PLA 플라스틱
과 ABS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고
절삭형은 커다란 덩어리를 조각하듯이 깎아 내어 입체 형상을 만들어 낸다. 절삭 있다. 고가의 산업용 3D 프린터에는
티타늄, 알루미늄, 나일론, 세라믹,
형은 적층형에 비하여 조형물을 더 정밀하게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재료의 손실이 많 금, 은 등과 같은 재료도 사용되고
있다.
고 채색 작업을 따로 해야 하며, 컵처럼 안쪽이 파인 부분은 제작하기 어렵다.
FDM(Fused Deposition
(3) 3D 프린팅의 단계 Modeling, 용융 적층 모델링) 방식
플라스틱 소재의 필라멘트를 열로
3D 프린팅은 모델링, 프린팅, 피니싱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녹여 압출한 후 상온에서 굳혀 물체
를 쌓아올리는 방식
1 모델링(modeling)
PLA(Poly Lactic Acid) 플라스틱
모델링 단계에서는 3D CAD와 같은 3D 모델링 프로그램이나 3D 스캐너 등을 이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플라스
용하여 3D 도면을 제작한다.
틱이며, 일반 플라스틱과 동등한 특
징을 가지지만 폐기 시 미생물에 의
2 프린팅(printing) 해 자연분해가 가능한 플라스틱으
로 ABS에 비해 가격이 비싼 단점이
프린팅 단계에서는 3D 도면을 이용하여 적층형 또는 절삭형 작업을 수행한다.
있다.
3 피니싱(finishing)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플라스틱
피니싱 단계에서는 산출된 제작물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색을 칠하거나 부분 제작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
물을 조립하는 등의 후반 작업을 수행한다. styrene resin)를 이용한 플라스틱으
로 아크리로니트릴, 브타디엔, 스티
렌의 세 가지 성분으로 되어 있다.
ABS 수지는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
후성 등이 뛰어나고 특히 사출 성
형, 압출 성형 등 2차 가공성이 뛰어
나며 가격이 PLA에 비해 저렴하지
만 쉽게 수축되는 성질이 있다.




모델링 프린팅 피니싱













[그림 Ⅱ-55] 3D 프린팅 단계(위)와 3D 프린터로 만든 조형물(아래)


142 Ⅱ. 제품의 생산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142 2017-08-30 오후 1:38:19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