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5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85









(2)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도수 분포표라고도 불리며, 수집한 자료의 범위를 몇 개의 구간으로 나

눈 후 각 구간에 들어가는 자료의 빈도를 세어 도수표를 만들고, 이를 도형화한 것이다.

생산 구간별 불량품 수
( 불량품
16 단위(개)
14

12
)
10
8
6
4
2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제품 생산 수)
[그림 Ⅲ-28] 히스토그램


위 그림은 그래프 용지의 가로축에는 제품 생산 수를, 세로축에는 불량품 수의 눈 TIP
ZD(Zero Defect) 운동
금을 매겨 각 구간에 속하는 도수를 기둥의 높이로 표시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어
무결점 운동으로, 품질 관리를 통해
느 생산 구간에서 불량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히스토그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하
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램은 생산 구간이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불량품 수가 어느 생산 수량 구간대에 가장

많은지를 알 수 있다. 위 그래프에서는 제품의 생산 수가 3,000개 이상 4.000개 미만
일 때 불량품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3) 관리도

관리도는 공정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쓰는 기법이다. 아래

그림에서처럼 그래프의 위와 아래에 각각 관리 한계선인 관리 상한선과 관리 하한선
을 긋고, 그 선의 범위 이내에 있으면 안정된 품질로 보고 생산 공정이 안정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 허용
0.9
0.8 관리 상한선
오차
0.7
0.6
안정 상태
0.5
)
0.4
0.3 관리 하한선
0.2
0.1 불안정 상태
(공정에 이상 발생)
0.0
(일수)
1 3 5 7 9 11 13 15 17 19 21
[그림 Ⅲ-29] 관리도법
3. 품질 관리 183






공업일반_3단원 김영수 0426.indd 183 2017-08-30 오후 2:05:3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