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5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95










3 공업 분야 직업 세계의 변화

직업의 변화는 산업 구조의 변화와 그 맥을 같이한다. 산업 혁명 이후 한동안 유지 TIP
되었던 산업 사회는 21세기에 이르러 지식 기반 사회로 급속하게 이행되고 있다. 따 안식년제
근로 의욕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라서 직업의 세계도 기술과 정보라는 지식을 활용하여 고부가 가치의 제품과 서비스 몇 년에 한 번 정도 자기 개발을 위
한 시간을 부여하는 제도
를 생산해야 하는 변화의 양상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다.
유연 근무제
(1) 기술 경쟁의 심화 일과 가정,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
하기 위해 근로 시간과 근로 장소를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기술과 지식 재산권의 강력한 보호 아래 기술 경쟁력은 선택할 수 있는 제도

곧 기업의 경쟁력이 되었다. 회사의 규모와 상관없이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면 재택근무제
회사 직무를 집에서 수행할 수 있는
대기업에 견줄 수 있는 경쟁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에서는 연구 개
제도
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시차 출퇴근제
기업에서는 학력, 학점, 어학 점수 같은 것을 잘 갖추기보다 실제 업무를 수행할 수 1일 8시간의 근무 시간을 준수하면
서 근로자의 근무 시작 시간과 종료
있는 인력을 원한다. 즉, 실무 능력이 앞으로 공업 분야의 취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 시간을 조정하는 제도
치게 될 것이다.
탄력 근무제
출퇴근 시간을 정하지 않고 일부분
(2) 생산 자동화 자유를 부여해 융통성 있게 근무 시
간을 조정할 수 있는 제도
기계 장비와 로봇의 발달로 생산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는 공장들이 많아지면서
고용 형태
단순 노동을 하던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
• 계약직 고용: 일정한 근로 기간
따라서 근로자들은 끊임없는 자기 개발을 통하여 생산 설비 관리 기술을 습득하거나 및 방식, 임금 따위를 계약을 통
하여 약정하고 그 기간 내에만 고
로봇 작동 및 수리 기술을 습득하는 등 변해 가는 직업 세계에 맞추어 발전해야 한다. 용이 지속되는 직위나 직무
• 시간제 고용: 사용자가 필요로 하
는 정해진 시간에만 일을 하는 시
간제 근무 형태
• 자기 고용제: 개인이 자유롭게 기
업의 업무를 수행하는 일종의 프
리랜서
• 파견 근로제: 인력 파견 업체에
소속되어 요청하는 기업에 일정
기간 고용되는 형태


[그림 Ⅴ-5] 최신 자동차 생산 라인과 과거의 자동차 생산 라인



(3)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고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의 분위기에 따라 공업의 생

산 체제도 단일 품종 대량 생산 체제에서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로 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신제품 개발 기간이 단축되고, 다양한 제작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므

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상 제품 제작, 내구성 해석, 시뮬레이션 등과 같은
새로운 기술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1. 직업 세계 293






공업일반_5단원 김영수 0426.indd 293 2017-08-30 오후 2:51:43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