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6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96









(4) 다국적 생산 체제

지리적 장점과 인건비 절감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생산 시스템이 해 OEM
국제적 브랜드를 가진 대기업 등에
외로 진출하고, OEM 방식과 같은 다국적 생산 체제의 도입으로 기업의 해외 진출이 서 주로 사용하는 생산 방식이다.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외국어 능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에서도 언어 비교적 인건비가 저렴한 동남아 등
지에 공장을 세워서 제품을 생산한
시험 점수를 기본 응시 자격으로 선정하는 등 다국적 생산 체제에 맞추어 직무 능력 후 자사의 브랜드를 붙여 제3국으
로 수출하는 방식이다.
이 변화하고 있다.




중국 일본
엔진
스티어링 상하이
프로펠러 샤프트
인도 엔진
엔진 베트남
액셀러레이터 하노이 타이베이 프레스 부품
트랜스미션

ASEAN. 타이 엔진 필리핀
유럽 완성 차 프레스 부품 트랜스미션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펠러 샤프트
벵갈루루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파키스탄 엔진
남아프리카 공화국 싱가포르
부품의 이동
인도네시아
ASEAN. 완성 차 조립
서남아시아 완성 차 엔진
완성 차 수출 지역
<출처: http://koc.chunjae.co.kr/Dic/dicDetail.do?idx=29339>
[그림 Ⅴ-6] 다국적 생산 체제의 예


(5) 첨단 공업의 핵심화
스마트폰, 컴퓨터, 비행기, 자동차 등 인간 생활에 편의를 제공하는 기구에는 컴퓨

터가 필수 요소로 작용한다. 치열한 기술 경쟁 속에서 전자 공업의 중요성이 커지면
서 전문 인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제어 회로 설계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이 미래 공업의 직업 세계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될
것이다.












스마트폰 홍채 인식 기술 자동화 3D 투시 이미지 우주선 3D 이미지
[그림 Ⅴ-7] 전문 인력이 필요한 첨단 공업

294 V. 직업 세계와 진로 계획






공업일반_5단원 김영수 0426.indd 294 2017-08-30 오후 2:51:44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