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7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97
공업 자료실 향후 10년 후 공업 분야의 직업 전망
한국고용정보원이 2017년에 발간한 『2017 한국직업전망』을 살펴보면, 향후 고용 변동 요
인으로 8가지를 꼽고, 업종별로 195개 직업에 대하여 전망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공업
분야의 직업에 한정하여 향후 10년 후 고용 전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용 변동 영향 요인 내용
인구 구조 및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의 증가 등 거시적 인구 구조 변화, 생산 가능 인구 감소, 여성
노동 인구 변화 의 경제 활동 증가,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 등 국내 노동 인구 변화
산업 특성 및 산업 구조의 고도화, 타 산업과의 융합 등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전략적 지원 (공유
산업 구조 변화 경제, 핀테크 활성화 등)
확실성 요인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과학 기술 발전, 예를 들면, 로봇화와 자동화, IoT, 자율 주행, AI,
(certain drivers) 과학 기술 발전 빅데이터, 3D 프린팅, 드론, IT 발전, 기술의 융복합화 등
환경 요인(환경 오염, 기후 변화, 자연재해 등)과 에너지 자원 요인(자원 고갈, 국가 간
기후 변화와 에너지 부족
자원 경쟁 등)으로 인한 (국제)규제 강화, 산업 육성, 전문가 양성 등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 사회의 복잡화, 개인화, 생활 수준의 질 향상 등으로 인한 건강, 미용, 여가에 대한 관심
변화 증가, 온라인 상의 소통 증대 등
대내외 경제 상황 변화 세계 및 국내 경기 전망
기업 생산 시설의 해외 이전 또는 국내로의 유턴, 특정 분야 또는 직무의 아웃소싱, 기
불확실성 요인 기업의 경영 전략 변화
(uncertain drivers) 업 인수/합병 등
정부의 정책 및 각종 규제 완화(튜닝 등), 신직업 육성 및 자격 제도 신설, 대학 구조 조정, 복지 서비스
법·제도 변화 강화 등 정부 정책에 따른 고용 영향, 법·제도(로스쿨 등)의 변화에 따른 고용 영향
다소 감소 증가
단조원, 측량 기술자, 콘크리트공, 주조원, 판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자, 산업 안전 및 위
금원 및 제관원, 귀금속 및 보석 세공원 등 험 관리원, 에너지 공학 기술자, 컴퓨터 보
3 안 전문가 등
17
26
유지 공업 분야 직업에
대한 향후 10년
건축가 및 건축 공학 기술자, 금속 가공 장
치 조작원, 금형원 및 공작 기계 조작원, 기 후의 고용 전망 58
계 장치 설비 및 정비원, 도시 및 교통 설 95
계 전문가, 도장원 및 도금원, 물품 이동 장 다소 증가
비 조작원, 배관공, 생산 관련 사무원, 비파
괴 검사원, 미장공·방수공 및 타일공, 섬유 생명 과학 연구원,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공학 기술자, 식품 가공 관련 기능 종사자, 자, 식품 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전기 공
용접원,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조립원, 전 학 기술자, 웹 및 멀티미디어 디자이너, 전
공, 제조·생산 조립원, 철골공, 철근공, 자 기 및 전자 설비 조사원, 컴퓨터 시스템 설
동차 정비원, 토목 공학 기술자, 통신 장비 계 및 분석가, 화학 공학 기술자, 환경 공학
및 방송 송출 장비 기사 등 기술자, 환경 관련 장치 조작원 등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2017 한국직업전망』, 2017.>
1. 직업 세계 295
공업일반_5단원 김영수 0426.indd 295 2017-08-30 오후 2:5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