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9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99
(2) 직무수행능력
직무수행능력이란 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말한다. 최근에는 기업의 채용 기
준이 스펙보다는 능력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 고용 노동부와 한국 산업 인력 공단에서는 산업 현장의 변화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개발하고 있다.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는 직무 능력을 직무수행능력과 직업기초능력으로 구분하
며, 직무수행능력은 다시 산업 공통 직업 능력, 선택 직업 능력, 필수 직업 능력으로
구분하고 있다.
직무 능력
인터넷
국가직무능력표준
산업 공통 직업 능력 www.ncs.go.kr
국가직무능력표주 홈페이지에 방
문하면 원하는 직종별 직무수행능
직무수행능력 필수 직업 능력 력과 직업기초능력을 진단해 볼 수
있다.
선택 직업 능력
직업기초능력
[그림 Ⅴ-8]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구조
선택 직업 능력
해당 분야에서 기업 간 업무 범위, 장비 등의 차이점
에 대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직업 능력으로, 해당
직업에 진입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직업 능력
은 아니나 기업체의 특성에 따라 갖추어야 하는 능력
은 아니나 기업체의 특성에 따라 갖추어야 하는 능력
직무수행
능력
필수 직업 능력 산업 공통 직업 능력
해당 분야에서 특정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 해당 분야에서 직업 또는 직무에 관계없이 공
한 직업 능력으로, 해당 직업에 진입하기 위해 통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능력
[그림 Ⅴ-9] 직무수행능력의 분류
1. 직업 세계 297
공업일반_5단원 김영수 0426.indd 297 2017-08-30 오후 2:5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