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0 고 윤리와 사상
P. 100








1 보편주의 윤리는 어디에서 기원했는가?
사상의 연원









주 제 열 기 고대 그리스 사상과 헤브라이즘에서 기원한 서양 윤리 사상은 상대주의 윤리를 극복하고 보편주의 윤리
를 수립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우리의 삶에서 보편적 윤리가 필요한 까닭을 생각해 보자.







프로타고라스와 소크라테스의 생각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자신이 모르면서도 알고
인간은 만물의 척도입니다.
있다고 믿는 것이 인간이
옳고 그름의 가치 판단도
가진 무지 중에 가장 큰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무지입니다. 먼저 자신의
절대적인 진리란
무지를 아는 것이 곧,
존재하지 않습니다.
앎의 시작입니다.




















프로타고라스 소크라테스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1 이해하기 2 비교하기 3 성찰하기
서양 윤리 사상의 연원 소피스트의 윤리 사상과 보편적 도덕규범의 필요성
고대 그리스 사상의 특징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 현대인의 보편적 도덕규범
헤브라이즘의 특징 윤리적 상대주의와 보편주의 바람직한 삶의 자세


다음 과제를 수행해 보자.

모둠 토론 윤리는 상대적인 것일까, 보편적인 것일까? 교과서 106쪽


98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98 2018-08-06 오전 11:36:33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