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 고 윤리와 사상
P. 95
해답 218쪽
단원 마무리 1 문장을 완성해 보자.
실학은 공리공론으로 흐르는 ( ㉠ )의 폐단을 비판하며 등장하였고, 국가를
경륜하기 위해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는 ( ㉡ ), 안정된 생활과 복지를 강조하는
주요 용어ㆍ개념 ( ㉢ )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추구하는 ( ㉣ )의 정신을 내세웠다.
실학
소중화론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강화학파
1) 실학은 민본주의와 평등 사회를 구현하려는 근대 지향적인 사상이다.
위정척사론
유교구신론
2) 홍대용은 지구는 둥글며 스스로 회전한다는 지구설과 지전설을 수용하여
동도서기론
세계 어느 곳이나 중심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개화
3) 정제두는 양명학을 수용하여 조선 양명학의 체계를 세웠으며, 그의 학풍
동학 을 계승한 학자들을 화서학파라 한다.
4) 강화학파의 사상은 대한 제국 말기에 한국 유교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
면서 유교의 개혁을 시도한 유길준의 유교구신론으로 이어졌다.
핵심 내용 정리
1 한국 전통 사상의 근대 지향성
1) 실학사상 3 다음 사상과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 배경: 조선 후기의 사회· 1) 위정척사 ㉠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 사상으로 발전하였고,
경제적 위기, 성리학의 모든 사람이 동등하다는 평등사상을 제시하였다.
공리공론, 고증학과 서양 2) 개화사상 ㉡ 유교의 도를 바른 것으로 서양의 문물을 사악한 것
과학 기술 전래 으로 구분하여 유교의 도덕적 정통성을 강조하였다.
• 특징: 경세치용, 이용후
3) 동학사상 ㉢ 유교적 질서를 유지하되, 서양의 과학 기술은 받아
생, 실사구시 학문 개
들이자는 이른바 동도서기론을 주장하였다.
혁안 제시
2) 강화학파 사상
• 배경: 정제두의 양명학 수 4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용 강화학파 형성
• 특징: 성리학 비판 실학 (가) 오늘날 서양인의 침입을 당하여 국론이 화친과 전쟁으로 양분되어 있습니
에 영향, 유교구신론 다. 서양인과 싸워야 한다는 주장은 우리 쪽 사람의 주장이고, 서양인과 화
친해야 한다는 주장은 적국 쪽 사람의 주장입니다. 전자를 따르면 나라의
2 근대 격변기의 한국 전통 사상 문화와 전통을 보전할 수 있지만, 후자를 따른다면 조선인이 금수의 지경으
1) 위정척사 로 빠지고 말 것입니다. - 이항로, 『화서집』
• 성리학적 질서 강조, 서양
문물 배척 항일 의병 (나) 서양에서 유행하고 있는 천주교가 우리나라에 유포되는 것을 금지해야 합
운동, 독립 운동에 영향 니다. 우리가 부족한 것은 기술뿐이기 때문에 그 기술만 받아들이면 됩니
다. 과학 기술 문명은 인간의 도리에 해롭지 않고, 백성들이 살아가는 데 도
2) 개화 사상
움이 되기 때문에 이를 배워야 합니다. - 「김윤식의 상소문」
•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
파 근대 사회의 기틀
마련 1) 근대의 격변기에 대처하려는 (가)와 (나)의 주장을 각각 무엇이라 하는가?
3) 동학 사상
• 최제우가 창시한 민족 종 2) (가)와 (나)의 주장이 가지고 있는 의의와 한계는 무엇인가?
교 인내천 사상 인간
평등사상 제시
7.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 윤리 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9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93 2018-08-06 오전 11:3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