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고 윤리와 사상
P. 93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 도가 사상은 상대주의 또는 개인주의적 관점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궁극적으로는 만물 평등의 세계를 지향한다. 도가
의 이상적 인간상은 도를 체득하여 모든 것이 궁극적으로 평등하다는 것을 아는 사
람이다. 도가에서는 이러한 사람을 지인(至人), 진인(眞人), 신인(神人), 천인(天人)
이라고 한다.
05 도가 사상은 상대주의 또는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인위적인 규범이나 제
도를 부정하고, 무위(無爲)의 삶을 강조한다. 노자는 인간이 본보기로 삼아야 하는
도는 항상 무위하기 때문에 사회 규범이나 제도도 무위를 목표로 하여야 한다고 주
장하였다. 또한, 장자는 도를 체득함으로써 절대적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
며, 자연과 더불어 소요하면서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삶
10 을 강조하였다.
동양 윤리 사상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민주주의 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은 건전한 시민 의식이며, 건전한 시민이 되기
위한 기본 조건은 윤리적으로 성숙한 개인이다. 따라서 개인의 수양과 윤리적 실천
을 강조하는 유교의 윤리 사상은 현대 사회에서 요청되는 시민의 덕성을 함양하는
15 데 기여할 수 있다.
불교에서 이상적 인간상으로 지향하는 보살은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시민의 덕성으로도 적합하다. 보살은 스스로의 힘으로 진리를 탐구하여 자아를 완
성해 나가는 주체적 존재이고, 나아가 부처의 가르침과 자비를 널리 베푸는 실천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에서는 세상 만물이 부처의 성품〔佛性〕을 지니고 있으
20 며, 연기의 법칙에 따라 생겨난 소중한 존재임을 강조한다. 이것은 현대인에게 더불
어 사는 삶의 중요성과 생명 존중의 정신을 일깨워 주고 있다.
도가 사상은 현대인의 삶에 많은 것을 시사한
다. 오늘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세계화 시대
에, 현대 시민은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다양한
25 가치를 인정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절대적으로 고정된 가치를 부정하는 도가의 상
대주의적 관점은 이러한 자세와 태도를 기르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세상 만물의 평등을 지향
30 하는 도가의 세계관과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됨
을 강조하는 도가의 정신은 오늘날 생태주의 윤
리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장
자의 자유정신은 동양의 문학과 예술에 큰 영감
을 주었고, 그 전통은 현대의 문학과 예술 세계로
35 도 이어지고 있다. ▲ 다문화주의 현대 사회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이다.
7.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 윤리 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9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91 2018-08-06 오전 11:3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