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8 고 윤리와 사상
P. 98
주제로 보는 서양 윤리 사상
주 제
상대주의 윤리 1 보편주의 윤리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 각자가 어떤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고, 정신의 탁월한
것을 인식하고 판단한 것이 각자에게는 상태인 덕(德)을 실천함으로써 참된 지
참이 된다. 식에 이를 수 있다.
프로타고라스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소피스트 중 소크라테스 소피스트의 윤리적 상대주의에 맞서 보
한 명이다. 윤리적 상대주의의 입장을 취하였다. 편적 윤리를 주장한 철학자이다.
주 제
이상주의 윤리 2 현실주의 윤리
현상 세계로부터 독립된 이데아는 모든 인간은 현상 세계 안에서 탁월함을 성취
사물의 원인이자 본질이다. 하기 위해 움직인다.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의 제자로서 플라톤의 가르침
승이다. ‘이데아론’이 그의 사상의 핵심이며, 철인 정치 을 받은 뒤 독자적으로 현실주의 사상을 주장하였다.
를 주장하였다.
주 제
쾌락주의 윤리 3 금욕주의 윤리
쾌락은 유일하게 참된 선이며, 덕은 쾌 네 몫으로 주어진 것들에 적응하고 운명
락을 만들어 내는 한에서만 가치가 있 으로 엮인 사람들을 사랑하라.
다.
에피쿠로스 에피쿠로스학파를 창시한 쾌락주의의 대 아우렐리우스 로마 제국의 16대 황제이며, 스토아 철
표자로서, 쾌락은 고통이 없는 상태를 뜻한다. 학자이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명상록』이 있다.
주 제
신앙의 윤리 4 이성의 윤리
그 누구도 진정한 경건 없이는, 즉 진정 자연적인 이해 능력만으로는 신의 본질
한 신에 대한 참된 경배 없이는 진정한 을 파악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므로, 신의
덕을 지닐 수 없다. 은총을 통하여 보충되어야만 한다.
아우구스티누스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주교로 아퀴나스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스콜라 철학
서 신앙이 이성보다 우월하다는 전제로 교부 철학의 자로서 신앙과 이성을 보완적인 관계로 이해하였다.
체계를 마련하였다.
96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96 2018-08-06 오전 11:3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