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고 윤리와 사상
P. 89
이황과 이이를 거쳐 성리학적 사유가 확고한 지위를 형성해 가는 가운데, 조선의
특색을 지닌 양명학의 체계를 세운 대표적인 학자는 정제두였다. 그는 양명학의 심 ✽정제두(鄭齊斗, 1649~1736)
✽
조선의 양명학자이다. 성리학의
즉리(心卽理)를 이어받아 도덕적 행위의 근거를 마음 밖에 있는 사물의 이치가 아
사변 철학적 경향에 반발하여
니라 마음의 본체인 양지(良知)에서 찾았다. 정제두의 사상을 이어받은 강화학파는 양명학을 수용하였다.
05 성리학의 권위에서 벗어나 인간의 주체성과 지행일치를 주장하였으며, 이후 실학과
개화사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강화학파의 사상 정제두는 왕수인의 심즉리를 수용하여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
면서 이(理)를 도덕 이론으로 연결하려는 성리학적 사고방식을 비판하였다.
정제두가 말하는 마음의 양지는 생성하고 활동하는 생기(生氣)와 영명한 정신으 *생리(生理)
“사람의 생리는 밝게 깨달을 수
✽
10 로서의 생리(生理)이다. 그는 마음이 도덕적 이치인 이를 갖추고 있으므로 배우지
있고 스스로 두루 통달하여 어
않아도 누구나 갖고 있는 양지가 밝아지면 모든 이치가 저절로 밝아진다고 하였다. 둡지 않은 것이다. 또한 측은지
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
따라서 도덕 판단도 사회 규범과 같은 외부 기준에 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주체인
심이 있다. 이것은 본래 가지고
나의 마음에 있다. 즉, 이(理)가 마음 밖에 있지 않기 때문에 성리학과 같이 사물의 있는 덕이고 곧 양지이며 인(仁)
이다.” - 정제두, 『하곡집』
이치를 탐구하면서 이를 마음의 본성과 연결하는 것은 잘못된 방식이라는 것이다.
15 그는 “어린아이라도 부모를 좋아하고 형을 존경할 줄 알며, 나쁜 일이 있으면 알
수 있다.”라는 주장에 근거하여, 누구나 지니고 있는 순수한 도덕 본성을 실천하면
도덕적 행위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마음이 도덕의 주체임을 깨닫는 과정을 강
조하면서 도덕 판단에서 자아 확립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강화학파의 사상은 조선 후기 성리학의 사변 철학적 경향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20 실학에 영향을 끼쳤다. 또한, 대한제국 말기 박은식은 양명학의 실천 정신을 이어받
✽
아 유교구신론을 주장하며 보수화된 한국 유교를 개혁하려 하였다. 그는 양명학의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
「유교구신론」은 박은식이 1909
관점에서 실천적인 유교 정신을 강조하였고, 당시 침체된 한국 유교를 혁신하여 이
년 『서북학회월보』에 익명으로
후 전개되는 민족 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되기를 바랐다. 실은 논문이다.
이해하기
자료 유교를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읽기
무릇 동양의 교화계(敎化界)에서 바르고 순수하며 광대정미하여 많은 성인이 뒤를 이
어 전하고, 많은 현인이 강명(講明)하는 유교가 끝내 인도의 불교와 서양의 기독교와 같
이 세계에 크게 발달하지 못함은 어째서이며, 근세에 이르러 침체 부진이 극도에 달하여
거의 회복할 가망이 없는 것은 무슨 까닭이뇨. …… 그 원인을 탐구하여 말류(末流)를 추
측하니 유교계에 3대 문제가 있는지라. 첫째는 유교계의 정신이 오로지 제왕 측에 있고,
인민 사회에 보급할 정신이 부족함이요. 둘째는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천하를 변혁
▲ 박은식(朴殷植, 1859~1925) 하려 하는 정신을 강구하지 않고, 내가 동몽(童蒙)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동몽이 나를 찾는
다는 생각을 간직함이오. 셋째는 우리 대한 유교에서 쉽고 정확한 법문을 구하지 아니하
고 질질 끌며 되어가는 대로 내버려 두는 공부만을 숭상함이다. - 박은식, 「유교구신론」
7.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 윤리 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8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7 2018-08-06 오전 11:3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