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6 고 윤리와 사상
P. 86



1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 윤리 사상이



7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주 제 열 기 근대의 격변기를 맞이하여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은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우리의 선인들은 이러한
격변기에 대처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고, 동양 윤리 사상에서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은 현대인
의 자아 완성과 도덕 사회 구현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생각해 보자.





근대의 격변기를 산 안중근의 말은 어떤 생각에서 나온 것일까?




나라가 위태로울 때 조국을 위
해 내 몸을 바치는 것은 군인으
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안중근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1 이해하기 2 비교하기 3 성찰하기
조선 후기와 근대 격변기 사회 실학 및 강화학파 사상의 특징 실학의 근대 지향성
실학과 강화학파의 사상 위정척사와 개화사상의 특징 위정척사, 개화사상, 동학의 의의
위정척사, 개화사상, 동학사상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 동양 윤리 사상의 현대적 의의


다음 과제를 수행해 보자.

모둠 토론 유교, 불교, 도가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교과서 92쪽


84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4 2018-08-06 오전 11:36:17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