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고 윤리와 사상
P. 87
1
7-1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의 근대 지향성 •실학의 등장 배경과 특징
학습 요소
•강화학파 사상의 특징
학 습 •실학과 강화학파 사상, 위정척사와 개화사상, 동학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위정척사와 개화사상
목 표 •근대 격변기의 상황에서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의 대응 노력을 탐구할 수 있다. •동학사상의 의의
조선 후기에 등장한 실학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17세기 이래로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는 크게 변하였다. 중국에서
는 만주족이 세운 청(淸)이 등장하여 명(明)을 대신하면서 중
화주의가 내부에서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또한, 유럽의 선교사
05 들이 아시아 각지에서 포교 활동을 하면서 서양의 문물과 과
학 기술을 전달하였다. 이 무렵 동아시아의 지식인들이 서양의
종교와 사상을 접하게 되었고, 종래 성리학 중심의 사회 체제
에 대해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관점도 대두하였다.
한편,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사회·경제적
▲ 홍대용의 『의산문답』과 그의 초상(실학 박물관 소장) 홍대용은 이
10 으로 위기를 맞았다. 조선 유학자들은 유교적 질서를 강조하
용후생(利用厚生)을 주장한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중국의 선진 문
며 당면 위기를 극복하려 하였다. 하지만 예를 둘러싼 논의가 물과 서양 과학 기술을 적극 수용하려 하였다.
정치적 논쟁으로 변질되면서 사람들의 심성은 피폐해지고 사회
혼란은 가중되었다. 또한, 조선 사회를 유지해 온 성리학이 점차 본래의 생명력을 잃
고 현실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15 이러한 시대 배경 속에서 성리학이 공리공론으로 흐르는 폐단을 비판하고 유학 본
래 정신으로 돌아가 현실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실학(實
學)이 등장하였다. 실학은 공허한 학문, 즉 허학(虛學)을 반대하면서 사람들의 삶을
윤택하게 해 줄 수 있는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하였다.
실학자들은 먼저 성리학의 경직성을 비판하고 양명학과 고증학, 그리고 서양의 과
20 학 기술 등을 수용하면서 학문에 대한 개방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실용과 폭넓은 학
문 연구를 중시한 실학은 국가를 경륜하기 위해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는 경세치용
(經世致用), 안정된 생활과 복지를 강조하는 이용후생(利用厚生), 경험적 사실에 근거
하여 진리를 추구하는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신을 내세웠다.
◀ 실사구시 현판(국립
고궁 박물관 소장) 조
선의 실학자들은 농
민 생활 안정과 상공
업 진흥, 국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
을 가졌다.
7.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 윤리 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8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5 2018-08-06 오전 11:3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