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고 윤리와 사상
P. 85
해답 218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도(道)를 따르며 자연에 순응하는 ( ㉠ )의 삶을 추구한 ( ㉡ )의 사상은
( ㉢ )에게 계승되어 절대적 자유와 만물의 평등을 주장하는 사상으로 발전하
주요 용어ㆍ개념 였다. 이러한 도가 사상을 바탕으로 ( ㉣ )가 성립하였다.
도
무위자연
상선약수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소국과민
1) 도(道)를 중시하는 노자의 사상은 이후 장자에게 계승되었고, 노자와 장
물아일체
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도교가 성립되었다.
제물
2) 노자는 만물이 평등하다는 의미의 제물(齊物)과 정신의 절대적 자유를 추
소요
구하며 소요(逍遙)를 주장하였다.
3) 도교는 중국 고대부터 내려오는 민간 신앙과 신선 사상 그리고 도가 사
핵심 내용 정리 상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4) 우리나라는 삼국 시대부터 도교를 수용하였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1 도가 사상의 특징
도교를 국교로 삼아 크게 성행하였다.
도가 사상의 성립
(노자의 사상 + 장자의 사상)
1) 노자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 도(道): 만물의 근원, 자연
법칙 1) 노자 ㉠ 지인(至人)은 자기의 몸에 얽매이지 않고, 신인(神
• 무위자연의 삶 강조 人)은 공적에 얽매이지 않고, 성인(聖人)은 명예에
• 이상사회: 소국과민 얽매이지 않는다.
2) 장자 2) 장자 ㉡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上善若水〕. 물은 만물을 이
• 노자 사상 계승 제물, 롭게 하면서도 공을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
소요 하는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도(道)에 가깝다.
• 만물 평등과 절대적 자유
강조
• 인간상: 지인, 신인, 진인, 천인
4 사진을 보고 다음과 같은 활동을 수행해 보자.
2 도교의 성립과 영향
도교의 성립
민간 신앙 + 신선 사상 + 도가 사상
1) 중국 도교
• 도덕경 중시, 노자를 신격화
• 태평도, 오두미도 교리
와 교단 정비
2) 한국 도교 1) 위의 사례와 같이 한국 고유 사상과 도교가 융합된 사례를 조사해 보자.
• 한국 전통문화와 도교의
융합
2) 도교가 한국의 전통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 민간 신앙: 옥황상제, 성
황신, 칠성신, 조왕신 등
6. 영원한 자유와 평등의 세계는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8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3 2018-08-06 오전 11:3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