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 고 윤리와 사상
P. 82
1
또한, 장자는 소요(逍遙)를 논하면서 절대적 자유를 추구하였다. 소요란 한가롭게
거닌다는 뜻으로, 속세를 떠나 아무런 속박 없이 자연 속에서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
며 조용하고 편안하게 사는 삶을 말한다. 이는 장자가 추구하는 이상적 경지이고 걸
림 없는 절대적 자유이다.
어느 날 혜시가 장자가 하는 말은 크기만 하고 쓸모가 없는 나무와 같다고 비판하 05
자 장자는 혜시(惠施)에게 소요의 이상을 말하였다.
지금 큰 나무가 있는데 그대에게 쓸모가 없어 걱정이 된다면, 아무것도 없는 드넓은 들판
에 그 나무를 심어 놓고, 그 곁을 자유롭게 거닐면서 아무런 하는 일 없이 지내고, 그 아래에서
유유자적하며 낮잠을 자면 좋지 않겠는가. - 『장자』, 소요유 편
10
소요, 즉 절대적 자유의 경지는 도의 체득을 통해 이룰 수 있
다. 장자가 말하는 소요는 쓸모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모든 얽
이 나무는
그런가?
크기만 했지 매임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다. 즉, 부귀
그럼 이 나무 그늘에서
쓸모가 없군! 와 명예, 그리고 권력과 같은 것은 인간의 삶을 해치는 것이
좀 쉬었다 가게나.
므로, 이러한 외부의 유혹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자의 사상은 노자의 사상을 더욱 15
풍부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표현이 뛰어나서 후대의 문
학과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혜시
탐구 이해하기, 성찰하기
활동
장자의 소요 사상: 절대적 자유의 정신!
북쪽 바다에 큰 물고기가 있는데, 그것을 곤(鯤)
이라 한다. …… 이것이 변해서 새가 되는데, 그것
을 붕(鵬)이라 한다. 붕의 등 넓이는 몇 천리나 되는
지 알 수 없다. 힘차게 날아오르면 그 날개는 하늘
을 가득 덮은 구름과 같다. …… 붕이 날아갈 때는
3천 리에 걸쳐 큰 파도가 일어나고, 큰 회오리바람을
타고 하늘 높이 9만 리를 올라가 날개 밑에 충분한 바
람이 쌓인 후에야 비로소 바람을 타고 푸른 하늘을 등
진 채 아무런 장애도 없이 남쪽을 향해 날아간다. ……
매미와 비둘기가 이를 비웃으며 “우리는 힘껏 날아올라야 나뭇가지에 머무르고, 때로는 거기에도 이르지 못해 땅바닥
으로 떨어진다. 그런데 어째서 9만 리나 올라가 남쪽으로 가려고 하는가. 터무니없는 짓이다.”라고 하였다. …… 이
조그만 날짐승이 어떻게 대붕의 비상(飛翔)을 알랴. 작은 지혜는 큰 지혜에 미치지 못하고, 짧은 수명은 긴 수명에 미
치지 못한다. 그것을 어떻게 아는가. 하루살이는 밤과 새벽을 모르고, 매미는 봄과 가을을 모른다. - “장자”, 소요유 편
활동 1 위의 이야기에서 장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활동 2 장자의 소요 사상이 현대인의 삶에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80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0 2018-08-06 오전 11:3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