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3 고 윤리와 사상
P. 83



1





6-2 도교의 성립 및 한국 고유 사상과의 융합 학습 요소
•도교의 성립 과정
•도교 사상의 특징
학 습 •도교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 도교의 성립과 발전
목 표 •도교가 한국 전통문화에 끼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도교와 한국 고유 사상의 융합




도교의 연원은 무엇이고, 어떻게 성립되었는가?

도가는 도(道)를 강조하는 노자의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노자의 사상은 이후 장

자에게 계승되었고,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일컬어 노장사상이라고 한다. 도가와 도
교는 도에 따르는 삶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도가는 노자와 장자의 가
05 르침을 뜻하는 철학 사상이고, 도교는 불로장생(不老長生)과 신선술(神仙術) 등을

믿는 현세적 종교라는 차이가 있다.
도교는 중국 고대부터 내려오는 민간 신앙과 신선 사상 그리고 도가 사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그리고 후한 말 이후 등장한 태평도와 오두미도의 종교 체계
가 도교의 골격을 이루었다. 태평도에서는 노자의 『도덕경』을 중시하였고, 오두미도
10 에서는 노자를 숭배하였다. 태평도의 농민 봉기는 비록 실패하였지만, 그 뒤를 이어
등장한 오두미도가 도교의 주류를 이루며 점차 세력을 확대하였다. ▲ 태상노군(太上老君) 도교에서 노
자를 신앙의 대상으로 신격화하
도교를 하나의 종교 체계로 완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은 바로 신선 사상이었다.
여 일컫는 말이다.
신선 사상이 도교의 교리 속에 포함되어 경전으로 발전하였고, 이 무렵 중국에 전해

진 불교에 자극을 받아 도교에서도 교리와 교단 조직을 정돈하였다. ✽태평도(太平道)
후한 말 ‘황건적의 난’으로 불리
15 도교의 교리는 도(道)가 천지 만물의 시작이고 세계의 근원이라는 도가의 이론을 는 농민 봉기의 주체가 바로 ‘태
이어받은 것이다. 따라서 도교에서는 신도들에게 도에 따라 살아가라고 가르친다. 평도’이다.

이후 도가와 도교는 중국인의 내면적 삶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정신적인 자 ✽오두미도(五斗米道)
유와 종교적 구원을 내세워 통치 세력을 비판하면서 현실 속에서 그들이 추구하는 쌀 다섯 말을 바치면 가입할 수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이상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태평도’에 이어 등장한 도교의
일파이다.

이해하기, 성찰하기
자료
읽기 ‘공과격(功過格)’: 선행을 베풀고 악행을 하지 말라!

‘공과격’이란 중국의 고대부터 민가에 전해져 내려오는 것으로 사람들에게 착한 일을 권하기 위해 만든 일
종의 권선서이다. 이 책은 사람의 일상 행위를 공(功: 선행)과 과(過: 악행)로 나누어 열거하고 각각의 행위에
점수를 붙여 두었다. 이것을 가지고 매일매일 스스로 자신의 행위를 채점하고, 연말에 총계를 내어 본 후에
악행이 많으면 악행을 고쳐 개선하도록 하고, 선행이 많으면 더욱더 선행을 쌓는 데 힘쓰도록 하였다.
‘공과격’은 사람이 선행을 베풀어 공덕(公德)을 쌓으면 복을 받고, 악행을 저질러 악업(惡業)을 지으면 벌
을 받게 된다는 인과응보(因果應報)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조선 초부터 민가에 널리 유포되어 우리의
도덕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도움 글 우리 선조들이 ‘공과격’이란 일종의 치부책을 만들어 매일매일 자신의 행위를 점검한 이유를 생각해 보자.


6. 영원한 자유와 평등의 세계는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8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1 2018-08-06 오전 11:36:16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