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고 윤리와 사상
P. 80











뛰어난 덕(德)은 덕을 마음에 두지 않으니 이 때문에 덕이 있고, 하찮은 덕은 덕을 잃지
않으려고 하니 이 때문에 덕이 없다. 뛰어난 덕은 무위(無爲)하며 또 그것으로 무엇을 하려
고 하지 않는다. …… 뛰어난 인(仁)은 사랑하지만 또 그것으로 무엇을 하려고 하지 않는
다. 그런데 뛰어난 의(義)는 행하면서 또 그것으로 무엇인가 하려고 한다. 뛰어난 예(禮)는
예를 따르면서 사람이 응하지 않으면 팔을 걷어붙이고 억지로 하게 한다. 그러므로 도(道) 05
를 잃게 된다. 도를 잃은 후에 덕이 나오고, 덕을 잃은 후에 인이 나오고, 인을 잃은 후에 의
가 나오고, 의를 잃은 후에 예가 나온다. 무릇 예는 진실함과 믿음이 옅은 것이니 어지러움
의 싹이다. - 노자, 『도덕경』


또한, 노자는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보다 가치 있다고 보았다.
물은 부드럽고 약하지만 항상 낮은 곳에 처하면서 다른 사물과 다투지 않는다. 10

▲ 강희안, <고사관수도> (국립중앙박물관) 그렇기 때문에 그는 최상의 선(善)은 물과 같다고 하였다.
세속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고요히 물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긴 선비의 모습이다.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上善若水〕.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공을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도(道)에 가깝다. - 노자, 『도덕경』


✽소국과민(小國寡民) 노자는 자연의 질서를 따르면서 자신을 낮추어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는 사람을
작은 나라 적은 백성을 뜻하는
말이다. 노자는 자연에 순응하 이상적인 인간으로 보고, 전쟁을 반대하면서 무위(無爲)의 정치, 검소하고 소박한 15
며 소박한 삶을 살아가는 촌락 삶, 겸손의 덕을 강조하였다. 사람들이 교활하게 이익을 밝히고 욕심을 부리게 하는
공동체로서 전쟁과 굶주림, 군
정치보다는 어린아이와 같이 순수하고 욕심이 없게 하는 정치가 바람직하다고 본
주의 가혹한 통치가 없는 이상

사회를 지향하였다. 것이다. 그는 무위자연의 삶이 실현되는 이상 사회의 모습으로 소국과민을 제시하
였다.




비교하기, 성찰하기

모둠 토론둠 토론 ‘소국과민’의 이상 세계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나라는 작고 백성은 적다. 열 가지 백 가지 기계가 있으나 쓰이지 않도록 한다.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을 무겁게 여기도록 하여 멀리 옮겨가지 않게 한다. 비록 배
와 수레가 있어도 탈 일이 없으며 갑옷과 병기가 있어도 펼칠 일이 없다. 백성들이
다시 노끈을 매어 쓰도록 하고, 자기가 먹는 음식을 달게 여기며, 그 옷을 아름답게
여기고, 그 거처를 편안히 여기며, 그 풍속을 즐기게 한다. 또한, 이웃 나라가 서로
바라보이고 닭이 울고 개가 짖는 소리가 서로 들려도 백성들이 늙어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할 일이 없다. - 노자, 『도덕경』


토론 방법 • 도가에서 추구하는 이상 사회의 모습을 그려보고 현대인의 삶과 비교해 본다.
• 도가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삶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 윤두서, <짚신 삼기>
• 소국과민의 이상을 현실 사회에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토론하고 그 결
과를 발표한다.


78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78 2018-08-06 오전 11:36:15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