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6 고 윤리와 사상
P. 76
호국 불교의 전통 한국 불교의 중요한 특징 중 또 다른 하나는 호국 불교의
전통이다. 삼국은 전래 초기부터 왕실을 중심으로 불교를 받아들여 불교 국가로
✽
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부처의 나라임을 표방한 신라의 불국토 사상이 이것을
잘 보여 주는 예이다. 또한, 한국 불교는 삼국이 고대 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국가 체제를 갖추고 민심을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호국 불교의 전통 05
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크게 기여한 화랑도 정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불교가 융성한 고려 사회에서는 부처가 나라를 보호해 준다는 신앙이 있었다.
고려는 거란과 몽골의 침입을 겪었고, 이를 물리치는 과정에서 온 국력을 기울여
✽ 대장경을 판각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임진왜란과 같은 국난을 당하게 되자 승
려들이 승병을 조직하여 나라를 구하는 전쟁에 나서기도 하였다. 10
▲ 승병장 사명 대사 유정의 동상
한국 불교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불국토 사상
이 땅이 부처의 나라임을 믿고 한국 불교가 종래 왕실이나 귀족 중심의 불교에서 대중 불교로 바뀐 것은 조선
부처가 있는 이상향으로 강조하
시대부터이다. 승려가 특권 계급이 아니라 대중의 일원으로서 대중과 고통을 함께
는 사상이다. 신라 사회에 불교
가 정착하는 데 기여하였다. 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한국 불교는 대중의 삶 속에 들어가 자비의 윤리를 실천하
면서 대중의 아픔을 달래고, 종교적 갈망을 어루만져주는 역할을 하였다. 15
✽대장경
불교 관계의 서적을 모은 총칭, 그러면 한국 불교가 현대 사회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대승 불교의 근본정신
고려에서는 거란의 침입을 부처
인 중생 구제와 연결하여 생각할 때, 현대 사회에서 한국 불교가 중시해야 할 점은
의 힘으로 물리치기 위해 처음
만들었고, 몽골의 침략 때 불타 자비의 윤리를 실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없어진 것을 다시 제작하였다. 현대 사회에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매우 심각하고 다양한 과제가 있다. 갈수록 심
이를 팔만대장경이라 한다.
화되는 사회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자비의 윤리는 우리에게 많 20
✽보시 은 교훈을 준다. 우리 주변의 어렵고 소외된 사람에게 더욱 관심을 가지고, 나아가
자비심으로 다른 사람에게 부처
사회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부처
의 가르침과 사랑을 베푸는 것
✽
을 말한다. 의 자비를 베푸는 보시의 실천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차별과 사회 부조리,
계층 간 갈등 심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소통과 화합으로 사회 통합을 이루는 데
화해와 통합의 정신을 강조하는 한국 불교의 전통이 도움을 줄 수 있을 25
것이다.
74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74 2018-08-06 오전 11:3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