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고 윤리와 사상
P. 75
1
5-2 한국 불교의 윤리적 특징 학습 요소
•한국 불교의 윤리적 특징
•한국 불교의 현대적 의의
학 습 •한국 불교의 윤리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목 표 •한국 불교의 현대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한국 불교의 윤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화해와 통합의 정신 한국 불교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화해와 통합의 정신이
다. 한국 불교는 다른 종교와 비교적 갈등 없이 공존하였고, 불교 내부에서도 여러
종파로 갈라져서 싸우기보다는 서로 조화를 이루며 화해와 통합을 중시하였다.
05 불교가 한국에 전해진 시기의 초기 불교에는 뚜렷한 종파가 없었으므로 다양한
불교 이론을 폭넓게 받아들였다. 또한, 불교가 전해질 당시 삼국 사회에는 기존의
여러 민간 신앙이 있었지만 한국 불교는 이들 신앙과 갈등이나 마찰 없이 서로 조화
✽
를 이루며 함께 공존하였다. 오늘날 사찰의 한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산신각이나 ✽
칠성각은 여타 종교와 조화를 이루며 화해와 통합을 중시하는 한국 불교의 특징을
10 잘 보여 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무렵에 원효의 화쟁 사상이 등장하였다. 원
효가 화쟁을 강조한 것은 당시 신라 사회에 들어와 있던 여러 불교
종파 사이의 다툼을 화해시키려는 목적에서였다. 화해와 통합을 강조
하는 원효의 정신은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시대에 들어와서 높은 평
15 가를 받게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선종과 교종의 여러 종파 간에 대립과 갈등이 심하
여 그것을 화해시키는 것이 중요한 문제였다. 의천이 주장한 교관겸
▲ 삼성각의 내부 모습(충남 공주 동학사)
수는 원효의 화쟁 사상을 바탕으로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려는
노력이었으며, 지눌도 정혜쌍수를 주장하며 선종과 교종이
삼성각
20 본래부터 하나임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의
대표적인 불교 사상가들은 모두 화해와 ✽산신각, 칠성각
통합을 강조하였다. 한국 불교가 토착화하는 과정에
서 민간 신앙과 도교 등의 신앙
본전(대웅전)
대상을 모신 건물이다. 호랑이
와 함께 등장하는 산신은 재물
석탑
을 담당하고, 북두칠성을 뜻하
는 칠성은 인간의 복과 수명을
담당하며, 홀로 깨달은 성인(聖
人)인 독성은 중생에게 복을 내
리는 존재이다. 산신, 칠성, 독성
을 함께 모신 건물을 삼성각이
불이문
천왕문 라고 한다.
일주문
▲ 사찰의 일반적인 구조도
5.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의 방식은 어떠한 것일까? 7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73 2018-08-06 오전 11:3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