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 고 윤리와 사상
P. 70



1



분쟁과 화합
5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의 방식은



어떠한 것일까?





주 제 열 기 한국 불교 이론을 정립한 원효는 일심 사상과 화쟁 사상을 바탕으로 대립하는 불교 이론 간의 조화를 추
구하였으며, 의천과 지눌은 선교 통합에 힘쓰며 소통과 실천을 강조하였다. 한국 불교의 전개 과정을 살
펴보고 한국 불교의 윤리적 특징과 현대적 의의를 생각해 보자.





다음 이야기에서 원효가 얻은 깨달음은 무엇일까?


유학가는 도중 토굴에서 잠을 자다 마신 물이 아침에 보니 해골이
원효는 의상과 함께 불경을 공부하기 위해 유학가는 도중 토굴에서 잠을 자다 마신 물이 아침에 보니 해골이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썩은 물인 것을 알고 원효는 구역질하였다.물인 것을 알고 원효는 구역질하였다.
썩은










의상 원효


원효는 대중 속으로 들어가 불교를 전파하였다.대중 속으로 들어가 불교를 전파하였다.
원효는 그 순간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낸 것임을 알게 되었다. 원효는
나무아미타불!
물은 어제와 오늘이 모두 같은데
어제는 단맛이 나고 오늘은 구역질이
나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그렇다!
달라진 것은 나의 마음이다.
진리는 밖이 아니라 내 안에 있다.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1 이해하기 2 비교하기 3 성찰하기
한국 불교의 성립과 발전 과정 선종과 교종의 특징 한국 불교의 윤리적 특징
원효의 일심 사상 의천과 지눌의 사상 한국 불교의 현대적 의의
원효의 화쟁 사상 의천과 지눌의 선교 통합 방법


다음 과제를 수행해 보자.

탐구 활동 ‘교관겸수’인가, ‘정혜쌍수’인가? 교과서 72쪽


68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8 2018-08-06 오전 11:35:55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