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고 윤리와 사상
P. 66



1





대승 불교의 주요 사상은 무엇인가?

중관 사상 대승 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사상은 모든 존재의 실체 없음을 강조하
✽용수(龍樹, 150?~250?) ✽
는 중관(中觀) 사상으로, 그 창시자는 용수이다.
중관 사상을 창시한 인도의 승
려로 대표적인 저술로는 『중론』 중관 사상은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연기설로부터 출발하여 공(空) 사상과 중도
이 있다.
(中道) 사상을 정립하였다. 공은 모든 존재의 실체 없음을 뜻하며, 중도는 극단에의 05

✽무착(無着, 310?~390?) 집착을 버린 중도가 진리라는 것이다. 공과 중도 사상의 바탕에는 연기설이 있는데,
유식 사상의 기초를 세운 인도 연기야말로 불교의 근본 진리라는 것이 중관 사상의 기본 관점이다.
의 승려로 미륵보살의 가르침을
연기설에 따르면 모든 것은 서로 관련지어 있으므로 불변의 본질이 없고, 불변의
받았다고 한다. 그의 아우 세친
(世親, 320?~400?)은 유식 사 본질이 없다는 것이 공이다. 따라서 공이 곧 중도이고 진리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
상을 체계화하였다.
도란 영원불변의 것이 있다는 유〔有: 있음〕의 극단과 아무런 인과관계 없이 사라져버 10
리고 만다는 무〔無; 없음〕의 두 극단을 벗어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대승 불교 이전
의 각 불교 교파는 영원불변의 본성이 있다고 주장하므로 공의 진정한 의미를 모른

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유식 사상 중관 사상과 더불어 대승 불교의 또 하나의 중요한 사상은 유식(唯

識) 사상으로, 무착이 유식 사상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유식이란 오직 의식뿐이라 15
는 뜻으로, 현상 세계는 의식의 장난에 불과하고, 의식을 떠나 객관적 실재란 존재

하지 않는다는 것이 핵심이다. 즉, 이 세상 모든 것이 의식의 흐름이므로 의식을 제
대로 잡고 그 의식의 근본을 알아야 궁극 목적인 해탈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유식 사상의 다른 이름은 유가행파로서 요가(정신 집중)의 실천을 중시하는 학파

이기도 하다. 유식 사상의 중요한 점은 심층 의식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들의 주요 20
관심은 객관적 세상의 존재 여부가 아니라 마음에 있다. 유식 사상가들은 의식의 존
재 형태를 세 가지로 설명한다. 즉, 인간의 오감에 따른 의식과 그 내면의 자기중심

적인 마음, 그리고 이것보다 더 근본적인 마음이 있다고 한다.



이해하기
자료 불교의 수행 방법: ‘삼학’과 ‘팔정도’
읽기


삼학(三學)은 불교 수행의 방법으로 계학(戒學), 정학(定學), 혜학(慧學) 세 가지를 일컫는다. 먼
저 계학은 몸과 말과 생각으로 범하는 나쁜 짓을 방지하고 덕행을 실천하라는 것이다. 즉, 팔
정도의 여덟 가지 길 중 올바른 말을 사용하고〔正語〕, 올바른 행동을 하며〔正業〕, 올바른
생활을 하라〔正命〕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정학은 참선을 통해 마음의 흔들
림을 바로잡고 평안한 경지에 이르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팔정도의 올바른 마음가
짐〔正念〕, 올바른 정신 집중으로〔正定〕, 올바르게 나아가라〔正精進〕는 것에 해당
한다. 마지막으로 혜학은 번뇌가 없는 평온한 마음으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고,
바르게 생각하여 진리를 깨달으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팔정도의 올바르게 보고
〔正見〕, 올바르게 생각하라〔正思〕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64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4 2018-08-06 오전 11:35:53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