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고 윤리와 사상
P. 61











해답 218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 ㉠ )과 ( ㉡ )는 인간의 도덕 감정과 일반 감정의
문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조선 후기 실학자 ( ㉢ )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주요 용어ㆍ개념 미워하는 경향성이 곧 성(性)이라는 ( ㉣ )을 제시하였다.

사단칠정
이기호발설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이통기국
1) 조선의 성리학은 인간의 도덕 본성보다는 사물의 이치 규명에 더욱 관심
기발이승일도설
을 가지고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2) 이황은 기대승과 사단칠정 논쟁을 통해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주장
경장론
하였다.
성기호설 3) 이이는 이황의 주장을 비판하면서 이통기국(理通氣局)과 기발이승일도

자주지권 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다.
4) 정약용은 성기호설(性嗜好說)을 주장하면서 인간이 하늘로부터 자주지
권(自主之權)을 부여받은 주체적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핵심 내용 정리
1 한국 유교의 성립과 발전

• 삼국 시대: 중국으로부터
유교 수용 일본에 전해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줌.
1) 이황 ㉠ 성(誠)이 없으면 뜻을 세울 수 없고, 이치를 바로잡
• 고려 말: 신진 사대부의 성
을 수 없으며, 기질을 변화시킬 수 없다.
리학 수용 조선 건국
2) 이이 ㉡ 하늘이 사람에게 자주지권을 부여하여 선을 하고자
• 조선 시대: 건국 이념
하면 선을 하고 악을 하고자 하면 악을 하게 하였다.
도덕적 이상 사회 지향
3) 정약용 ㉢ 경(敬)으로 마음을 다스리면 천리를 보존하고 인간
2 조선 성리학의 발달
의 욕망을 조절할 수 있다.
1) 이황
• 사단칠정 논쟁
• 이기호발설 주장
• 경(敬) 사상 중시 4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순수한 도덕 본성 확보
조선 성리학이 가지는 독자적인 특징은 심성론과 수양론에 있다. 중국의 학자
2) 이이
들이 본체론을 중심으로 세계와 우주 만물의 궁극적인 이치를 주로 탐구하였다
• 이통기국 주장
면, 조선의 학자들은 행위의 주체인 인간의 도덕 감정과 일반 감정의 문제를 깊
• 기발이승일도설 주장
이 있게 탐구하면서 마음의 수양을 강조하였다. 조선 성리학의 특징을 잘 보여
• 성(誠)과 경(敬) 중시
주는 사단칠정론은 도덕적 심성을 확보하기 위한 심층적인 탐구 과정에서 비롯
• 일반 감정의 도덕적 조절
된 것이었다.
3) 정약용
• 성리학의 공리공론 비판
1) 이황과 이이는 사단과 칠정을 각기 어떻게 이해하였을까?
• 실학 집대성 사회 개혁
방안 제시
• 성기호설 자주지권 주장 2) 이황과 이이의 수양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3. 한국 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5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59 2018-08-06 오전 11:35:51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