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고 윤리와 사상
P. 64










불교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연기적 세계관과 삼법인 석가모니가 깨달은 깨달음의 내용은 무엇일까? 석가모
✽삼법인(三法印)
니는 깨달음의 핵심을 연기(緣起)로 설명하였다. 연기란 세상 모든 것들이 서로 의
불교의 세 가지 근본적인 특징
존하는 관계에 있고, 상호 의존적으로 생겨난다는 것이다.
으로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
개고를 말한다. 일체개고 대신 석가모니는 모든 존재의 특성으로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 05
열반적정(열반의 경지는 고요하
개고(一切皆苦)의 삼법인을 제시하였다. 삼법인은 세 가지 진실한 가르침이란 뜻이

고 안락하다는 뜻)을 넣기도 한
다.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 다. 연기와 관련하여 제행무상을 설명하면, 모든 것은 상호 의존적으로 생겨난 것이
고, 열반적정 모두를 합하여 사
기에 영원할 수 없다는 뜻이다. 즉, 모든 것은 다른 것에 의존함이 없이 스스로 존재
법인이라고도 한다.
하여야 영원할 수 있지만 서로 관계 속에서 다른 것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영원할

수 없다는 것이다. 10
제법무아는 내가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내가 없다면 누가 살고 누가 괴로움을
겪는다는 것일까? 여기서 무아라는 말은 불변의 주체로서의 자아가 없다는 말

로 이해할 수 있다. 현실 세계 속의 ‘나’는 여러 요소로 이루어져 끊임없이 변화
하는 존재이므로 마치 영원불변의 내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것이다. 또 행위의 배후에 어떤 주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며, 더 나아가면 모 15
든 것에 불변의 본질이 없다는 것이 무아의 주장이다.
일체개고는 이 세상 모든 것이 괴로움이란 뜻이다. 이는 우리가 살면서

겪는 여러 가지 괴로움을 뜻하지만 좀 더 넓은 의미로는 ‘불만족스럽다’,
‘뜻대로 안 된다’ 등의 의미로도 이해할 수 있다. 즉, 모든 것은 영원한
것이 없는데 사람들은 영원함을 추구하고, 욕망은 결코 만족될 수 20

가 없는데 끊임없이 욕망을 추구함으로써 불만족스럽다. 이러한
이유로 이 세상 모든 것은 결국 괴로움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 석가모니의 고행상


이해하기
자료
읽기 불교의 세계관: 연기(緣起)

• 모든 것은 원인에서 생기고 …… 모든 것은 원인에 따라 소멸한다. 이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 『연기법송』

•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기 때문에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기 때문에 저것이 없고,
이것이 사라지기 때문에 저것이 사라진다. - 『쌍윳따니까야』

• 비유하면 세 개의 갈대를 아무것도 없는 땅 위에 세우려고 할 때 서로 의지해야 설 수 있는 것과 같다. 만일
그 가운데 한 개를 제거해 버리면 두 개의 갈대는 서지 못하고, 그 가운데 두 개의 갈대를 제거해 버리면 나
머지 한 개도 역시 서지 못한다. 그 세 개의 갈대는 서로 의지해야 설 수 있는 것이다. - 『잡아함경』
도움 글 연기설에 따르면 어떤 존재도 우연히 생겨났거나 홀로 존재하는 것은 없으며, 반드시 그 존재를 성립시키는 여러 원인과 함께 관
계 속에서 생겨나고 또 소멸한다. 즉, 모든 존재는 서로에게 원인이 되고 조건이 되기도 하면서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62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2 2018-08-06 오전 11:35:52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