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고 윤리와 사상
P. 65
✽
사성제와 팔정도 석가모니 가르침의 핵심은 사성제와 팔정도(八正道)이다. 사 ✽팔정도(八正道)
• 정어(正語): 올바른 말
성제는 고집멸도(苦集滅道) 네 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를 뜻한다.
• 정업(正業): 올바른 행동
사성제의 첫 번째 진리는 고(苦)이다. 고는 이 세상 모든 것은 괴로움일 뿐이라는 • 정명(正命): 올바른 생활
• 정념(正念): 올바른 마음가짐
뜻이다. 그렇다면 이것이 왜 첫 번째일까? 그 까닭은 먼저 현실 세계가 괴롭다는 것
• 정정(正定): 올바른 정신 집중
05 을 명확히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진리는 집(集)이다. 집은 괴로움의 원인에 • 정정진(正精進): 올바른 수행
• 정견(正見): 올바른 시각
대한 진리이다. 그렇다면 괴로움의 원인은 무엇인가? 괴로움은 저절로 생긴 것이 아
• 정사(正思): 올바른 생각
니라 모두 원인이 있다. 석가모니는 그 원인을 인간의 탐욕과 어리석음 때문이라고
하였다. 세 번째 진리는 멸(滅)이다. 멸은 괴로움의 원인을 제거하여 괴로움이 사라
진 이상적인 상태를 뜻한다. 네 번째 진리는 도(道)이다. 도는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10 길을 뜻한다. 석가모니는 여덟 가지 올바른 수행의 길로서 팔정도를 제시하였다. 이
여덟 가지의 방법으로 수행을 하면 괴로움이 없는 이상적인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는 것이 불교의 기본적인 가르침이다.
불교 사상은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석가모니가 열반에 든 후 그의 제자들은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수집 정리하여 불 ✽부파 불교
대승 불교 운동 이전 불교의 여
15 경을 편찬하고 지켜야 할 계율 등을 정비하였다. 이 과정에서 석가모니의 가르침과
러 교파를 뜻하며, 대승 불교도
계율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달라지면서 불교는 다양한 교파로 발전하였는데, 이를 들은 이들을 소승 불교라고 하
였다.
✽ 부파 불교라 한다. 부파 불교 시기에 불교의 이론이 체계적으로 발전하였지만 점차
이론에만 치우쳐 학문 중심의 종교에 머물게 되었다. 이러한 불교의 학문적 경향을 ✽아라한(阿羅漢)
본래 부처를 이르는 다른 말이
비판하고 불교의 혁신을 주장하며 일어난 것이 대승 불교 운동이다.
었으나, 점차 부처와 구별하여
✽
20 기존 불교가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이 되고자 한 것에 반해 대승 불교는 이상적 불교 수행자가 도달할 수 있는
✽
인간상으로 보살을 제시하였다. 아라한이 깨달음을 얻어 번뇌에서 벗어난 사람이 최고 단계의 위치를 뜻하는 말
로 바뀌었다.
라면, 보살은 부처의 길을 따르며 자비를 실천하는 사람이다. 즉, 깨달음의 지혜와
자비의 실천이 부처의 두 가지 특성이라면, 대승 불교에서는 자비의 실천을 더욱 강 ✽보살(菩薩)
깨달음을 얻어 중생을 구제하고
조함으로써 자신들이 부처의 참뜻을 더욱 잘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한다. 자 노력하는 사람을 말한다.
탐구 이해하기, 성찰하기
활동
개인의 해탈인가, 자비의 실천인가?
불교에서 ‘대승’은 큰 수레, ‘소승’은 작은 수레를 의미한다. 대승 불교를 주장하
는 사람들은 기존 불교가 개인의 해탈만을 중시하여 각자가 아라한이 되고자 한다
고 비판하면서 보살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하였다. 즉, 깨달음을 얻어 중생 구
제를 추구하는 자신들이 모두가 함께 타는 큰 수레(대승)이고, 개인의 해탈만을 추
구하는 기존 불교는 작은 수레(소승)라는 것이다.
활동 1 소승 불교가 추구하는 아라한과 대승 불교가 추구하는 보살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활동 2 ‘지혜’와 ‘자비’ 중 어느 것이 부처의 참뜻과 더 가까운 것인지 토론해 보자.
4.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 6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3 2018-08-06 오전 11:3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