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8 고 윤리와 사상
P. 68










✽법장(法藏, 643~712) ✽ 법장이 실질적인 체계를 세운 화엄종에서 최고의 경전으로 중시하는 것은 『화엄
중국 당나라의 승려로 법호는
경』이다. 『화엄경』은 부처가 얻은 깨달음의 경지와 그것에 이르는 수행을 설한 것으
현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화엄
오교장』, 『화엄경탐현기』, 『대승 로, 화엄종에서는 이 경전의 가르침이 온전한 가르침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화엄
기신론의기』 등이 있다.
경』을 근본 경전으로 불교의 교리와 조직을 체계화하였다.
천태종은 『법화경』, 화엄종은 『화엄경』을 최고의 경전으로 보는 것에서 알 수 있 05

듯이, 교종에서는 각 종파별로 인정하는 최고의 경전이 각기 다르다. 하지만 경전을
중심으로 이론적인 이해를 중시하고 지혜를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같다.



선종의 특징 천태종과 화엄종이 불경의 이해를 중시하는 이론 위주의 종파인 것
과 달리 선종은 선정(참선)을 통해 사물의 본성을 직관하고, 그 속에서 진리를 깨닫

고자 하는 실천 위주의 종파라고 할 수 있다. 즉, 문자에 구애받지 않으며, 경전의 가 10
르침과 달리 따로 전해지고, 직접 사람의 마음을 가리키며, 본성을 직관하여 성불(成
佛)한다는 것이 선종 사상의 핵심이다.

중국에서 선종이 큰 세력을 얻게 된 것은 제6조 혜능(慧能, 638~713)부터이다. 선
종은 불교의 한 수행법인 선정(참선)을 기초로 하여 중국 불교의 대표적인 종파로 성
장하였다. 이와 같이 중국 불교의 특색이 잘 드러나는 선종은 불교 본래의 정신으로 15

돌아가려는 자기 혁신 운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선종은 특정 경전에 의거하지 않고 마음을 닦는 실천을 강조하였다. 중요한 것은
깨달음인데, 그것은 잊고 경전에만 매달려 마치 책 속에 진리가 있는 것처럼 여기는

당시의 세태를 비판적으로 본 것이다. 이렇듯 선종에서는 경전의 이해를 중시하는 교
종 전체를 비판적으로 보고, 선종만이 직관 수행을 통해 불교의 궁극적인 목적인 깨 20

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비교하기, 성찰하기


모둠 토론둠 토론 ‘경전의 이해’인가, ‘본성의 직관’인가?













▲ 경전의 이해 부처의 깨달음을 담은 경전과 설법을 통해 부처의 ▲ 본성의 직관 참선을 통해 이미 자신 안에 가지고 있는 부처의 마
참뜻을 이해한다. 음(불성)을 깨닫는다.

교종과 선종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 방법을 비교해 보고, 이들 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제시해 보자.


66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6 2018-08-06 오전 11:35:54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