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고 윤리와 사상
P. 71



1





5-1 화쟁 사상과 선교 통합 학습 요소
•한국 불교의 전개 과정
•원효의 일심 사상, 화쟁 사상
학 습 •한국 불교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의천의 선교 통합 방법
목 표 •원효의 사상과 의천 및 지눌의 선교 통합 노력을 이해할 수 있다. •지눌의 선교 통합 방법




한국 불교의 성립과 발전 과정은 어떠하였는가?

불교의 수용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것은 삼국 시대이다. 불교가 전래되
던 당시는 삼국이 국가 체제를 정비하면서 부족 국가에서 고대 국가로 성장하던 시

기였다. 당시 삼국 사회에는 각 지방과 부족마다 여러 민간 신앙이 있었으나, 불교가
05 이러한 민간 신앙을 융합하면서 삼국 사회를 정신적으로 통일하는 데 기여하였다.
한국 불교는 전래 초기에 주로 왕실과 지배층을 중심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점차

대중의 종교적 갈망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해소하는 보편 종교로서의 역할을 함으
로써 민간에서도 널리 확산될 수 있었다.

▲ 이차돈 순교비 신라는 5세기경
한국 불교의 성립 신라의 삼국 통일 후 한국 불교는 교종의 전성기를 맞았다. 고구려를 통해 불교가 전래되었
으나,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
10 교종은 부처의 말씀을 담은 불교 경전을 근본으로 하는 불교 종파로 경전의 교리에 사건을 거치면서 정식으로 공인
되었다(527).
대한 이해와 계율의 실천을 중시하였다. 당시 한국 불교의 이론 정립에 큰 역할을
한 승려가 바로 원효이다.

원효는 화쟁 사상을 바탕으로 많은 저서를 남겼으며, 여러 불교 종파의 경전을 통
합적으로 이해하여 독자적인 불교 이론을 정립하였다. 그는 글을 모르는 사람도 부
15 처의 가르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포교에 힘썼다. 그 결과 종래 왕실 중심의 불

교가 점차 민간으로 확대되어 한국 불교를 대중화하는 길을 열었다.
신라 말 왕실의 권위가 쇠퇴하고 지방 호족 세력이 성장하는 가운데 중국으로부
터 선종 불교가 들어와 호족 세력을 중심으로 성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 불교는 교

종과 선종이 함께 발전하였다.
20 고려 시대에도 불교는 왕실의 비호
를 받으며 크게 융성하였다. 의천과

지눌을 비롯한 다수의 고승이 나오
고, 국가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수많

은 사찰이 세워졌으며, 대장경 판각이
25 이루어지는 등 불교는 지속적으로 번
영을 누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종과

선종의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 당시
불교계의 큰 관심사였다.
▲ 해인사(경상남도 합천) 해인사는 부처님의 말씀을 담은 법보 사찰로 유명하다. 이곳에서 보존하고 있는
팔만대장경과 장경판전은 현재 세계 기록 유산, 세계 문화유산으로 각각 지정되었다.


5.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의 방식은 어떠한 것일까? 6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9 2018-08-06 오전 11:35:57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