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2 고 윤리와 사상
P. 72
원효의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일심 사상 일반적으로 한국 불교 사상가 중 최고의 인물로 평가되고 있는
원효의 핵심 사상은 일심(一心)과 화쟁(和諍)이다. 일심이란 마음이 모든 것의
근거이고 바탕이라는 뜻으로,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내고 마음에서 모든 것이
비롯한다는 사상이다. 05
원효가 마음을 중시한 것은 우리가 깨달음을 얻어 불교의 이상인 괴로움이
없는 열반의 경지에 이르고자 할 때, 깨달음이란 결국 마음의 문제이기 때문
이다. 또한, 마음은 그 본질에서 차이가 없으며, 부처의 마음과 같기 때문에 일
심은 화쟁의 근거가 된다. 즉, 화쟁이란 궁극적으로는 일심으로 돌아가기 위한
것이며, 일심으로 돌아감이 화쟁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 10
▲ 원효(元曉, 617~686) 통일 신라의 고승으
로 『십문화쟁론』, 『대승기신론소』, 『금강삼
매경론』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화쟁 사상 화쟁이란 다양한 불교 이론 사이의 논쟁을 그치게 하여 화해시킨
다는 뜻이다. 화쟁이 필요한 까닭은 종래 여러 불교 종파들이 이론을 다투면서 쟁론
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원효는 쟁론이 일어나는 원인을 진리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자기 이론에만 집착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분파주의는 부처의 진정
한 가르침에 어긋나는 것이므로, 다툼을 그치고 서로 화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5
화쟁은 언어로 표현된 이론 다툼을 화해시키는 것이다. 언어는 진리를 전달하는
수단이지만 때로는 진리를 은폐하기도 하여 언어에 대한 잘못된 이해는 이론 다툼으
로 이어진다. 그 까닭에 원효는 언어 자체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여러 불교 종파의
✽원융회통(圓融會通)
이론을 폭넓게 이해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원만하고 막힘이 없어 모든 것
이 하나로 통한다는 뜻이다. 원효는 원융회통의 논리로 여러 종파의 이론을 연구하고 통합하여 각각의 가치 20
✽
를 인정함으로써 중국 불교와 다른 독자적인 한국 불교 이론을 정립하였다. 원효
✽정토 신앙
아미타불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사상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현실에서의 걸림 없는 실천이다. 그는 대중 속으로
뜻으로, ‘나무아미타불’이라는
✽
들어가 정토 신앙을 널리 전파하고, 어려운 불교 이론을 대중이 쉽게 받아들일 수
염불을 하면 누구나 극락왕생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있도록 노래를 지어 포교하는 등 한국 불교를 대중화하는 데 힘썼다.
이해하기
자료
읽기 원효의 사상: 일심(一心)과 화쟁(和諍)
일심(一心)이란 무엇인가? 더러움과 깨끗함은 그 본래 성품이 둘이 아니고, 참과 거짓 또한 서로 다르지 않
다. 그러므로 하나〔一〕라고 한다. 이 둘이 없는 곳에서 불법은 진실하며 허공과는 다르므로, 스스로 신령스럽
게 아는 성품이 있으니 이를 마음〔心〕이라고 한다. - 원효, 『대승기신론소』
부처가 세상에 있었을 때에는 부처의 말씀에 힘입어 중생이 한결같이 이해하였으나 …… 쓸데없는 이론들
이 구름 일어나듯 하여 혹은 말하기를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 하며, 혹은 나는 그러하나 남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여 드디어 하천과 강을 이룬다. …… 비유컨대 청(靑)과 남(藍)이 같은 바탕이고, 얼음과 물이 같은 원
천이고, 거울이 만 가지 형태를 다 용납함과 같다. - 원효, 『십문화쟁론』
70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70 2018-08-06 오전 11: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