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고 윤리와 사상
P. 73










선종과 교종을 통합하려는 노력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의천의 교관겸수 의천은 지눌과 더불어 고려 시대 불교를 대표하는
승려이다. 그는 출가 후 여러 불교 종파의 경전을 모아 분류 정리하는 작
업과 속장경 편찬 등 여러 가지 불교 사업을 추진하였다.

05 의천이 활동하던 당시 고려 불교계는 선종과 교종의 대립이 컸다. 의천
은 선종과 교종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내외겸전과 교관겸수를 주장


하며 선교 합일을 추구하였다.


교(敎)를 배우는 사람은 대개 안을 버리고 밖에서 구하려는 경향이 강하
고, 반면에 선(禪)을 익히는 사람은 밖의 대상을 잊고 안으로만 파고들기를

10 좋아한다. 그러나 이 둘은 모두 치우친 집착으로서 두 변에 갇힌 것이다. ▲ 의천(義天, 1055~1101) 고려 전기 왕족 출신 승려
- 의천, 『대각국사문집』 로서 대각 국사라는 시호를 받았다. 한국 천태종을
세운 중흥 시조로 추앙받고 있다.
의천은 선종에서 중시하는 직관을 무시하고 교종에서 중시하는 경전만 공부하거

나, 그와 반대로 직관만을 중시하여 경전 공부를 도외시하는 것 모두가 수행 방법으
로 적합하지 않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종에서 중시하는 경전 공부와 선종에서 중시 ✽내외겸전(內外兼全)
안과 밖을 함께 추구하여 완전
15 하는 직관 수행을 함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관겸수는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하게 한다는 뜻으로 여기서 안

하나로 합치자는 것이다. 즉, 경전 공부인 교(敎)를 중심으로 하여 선종의 수행 방법 은 선종, 밖은 교종을 말한다.
인 관(觀)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 의천 사상의 핵심이다. ✽교관겸수(敎觀兼修)
의천은 당시 창건된 국청사(國淸寺)에서 천태의 교리를 강론하면서 천태종을 개 경전의 교리를 이해하는 교(敎)
와 참선 수행하는 관(觀)을 함께
창하였다. 그가 천태종을 새롭게 새운 것은 좌선과 지관(止觀) 수행을 중시하는 천 닦아 진리를 깨닫는 것을 말한
20 태종의 교리가 포괄적이고 선종과도 통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다.
의천은 원효의 사상을 중심으로 신라 불교의 전통을 재확인하고, 화쟁 사상을 바탕

으로 선교 통합을 이루려 하였다.




이해하기
자료
읽기 분황사 원효 성사에 대한 제문


모년 모월 모일에 불법을 구하는 승려 모는 삼가 다과와 제물을 갖추어 해동 교주 원효 보살에게 제사를 올
립니다. …… 오직 우리 해동 보살만이 성종(性宗: 법성종)과 상종(相宗: 법상종)을 융회하여 밝히고, 고금을
한데 포괄하여 백가 쟁론의 단서를 화합하고 일대의 지극히 공정한 논의를 얻었습니다. …… 티끌과 함께 해
도 그 진여(眞如: 절대 진리)는 더러워지지 않고, 빛을 부드럽게 해도 그 실체는 변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
명성이 중국과 인도까지 떨치고, 그 자비의 교화가 이승과 저승까지 미쳤으니, 이를 찬양하는 것이 어디에도
비교하기가 어렵습니다. 모는 다행히 오랜 인연으로 일찍이 불교를 사모하여 선철(先哲)들의 사이를 두루 살
펴보았으나 우리 성사(聖師)보다 뛰어난 이는 없었습니다. - 의천, 『대각국사문집』
도움 글 선교의 통합을 자신의 중요한 임무로 생각하였던 의천은 경주 분황사에 있는 원효의 초상을 찾아 제를 올리며 그의 덕을 추모
하였다. 의천은 원효의 화쟁 사상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해동 교주, 원효 보살 등의 최고의 존칭으로 불렀다.


5.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의 방식은 어떠한 것일까? 7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71 2018-08-06 오전 11:35:5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