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고 윤리와 사상
P. 77
해답 218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한국 불교 이론을 정립한 ( ㉠ )는 일심 사상과 ( ㉡ )을 바탕으로 대립하는
불교 이론 간의 조화를 추구하였으며, ( ㉢ )과 ( ㉣ )은 선교 통합에 힘쓰며
주요 용어ㆍ개념 소통과 실천을 강조하였다.
일심 사상
화쟁 사상
원융회통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정토 신앙
1) 원효는 화쟁 사상을 바탕으로 당시 여러 불교 종파의 경전을 통합적으로
교관겸수 이해하여 독자적인 불교 이론을 정립하였다.
내외겸전 2) 의천은 대중 속으로 들어가 정토 신앙을 널리 전파하고 포교하는 등 한
정혜쌍수 국 불교를 대중화하는 데 힘썼다.
돈오점수 3) 의천은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포섭하는 교관겸수를, 지눌은 선종의 입
장에서 교종을 융합하는 정혜쌍수를 주장하였다.
호국 불교
4) 한국 불교의 중요한 특징은 화해와 통합의 정신, 호국 불교의 전통 등을
들 수 있다.
핵심 내용 정리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1 한국 불교의 성립과 발전
1) 원효 ㉠ 선(禪)은 조사가 전하는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의
• 삼국 시대: 불교의 수용
말씀이다. 선과 교는 분리될 수 없다.
고대 국가 성립에 기여
• 통일 신라: 원효의 한국 불 2) 의천 ㉡ 불교 경전 교리를 이해하는 교(敎)와 부처의 본성을
교 이론 정립, 정토 신앙 직관하는 관(觀)을 함께 병행하여 수행해야 한다.
불교의 대중화
3) 지눌 ㉢ 마음이 모든 것의 근거이고 바탕이다. 모든 것은 마
• 고려 시대: 선종과 교종의
음이 지어낸 것으로, 마음에서 모든 것이 비롯된다.
갈등 의천과 지눌의 선
교 통합 노력
4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2 한국 불교의 특징과 의의
원효의 일심 사상과 화쟁 사상 관(觀: 직관)은 익히지 않을 수 없고, 경(經: 경전)은 공부하지 않을 수 없는
(한국 불교의 이론 정립) 것이니, 대경을 전수하였으되 직관 수행 하는 것을 익히지 않은 자라면 비록 경
에 능통한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나는 믿지 않는다. - 의천
의천 지눌
선(禪)은 조사가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고, 교(敎)는 부처의 말씀이다. 선과 교
교관겸수 정혜쌍수 는 분리될 수 없으며, 고요하고 자취도 없는 마음의 본체인 정(定)과 깊은 지성
내외겸전 돈오점수
(선교 통합) (선교 일치) 의 작용인 혜(慧)를 함께 닦아야 한다. - 지눌
1) 의천과 지눌은 선종과 교종을 각기 어떤 방법으로 통합하려 하였을까?
■ 윤리적 특징: 화해와 통합,
호국 불교 2) 의천과 지눌의 사상에 바탕을 이루는 공통된 사상은 무엇일까?
■ 현대적 의의: 자비 실천, 소통
과 화합
5.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의 방식은 어떠한 것일까? 7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75 2018-08-06 오전 11:3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