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고 윤리와 사상
P. 79
1
6-1 노자와 장자의 사상 학습 요소
•도가의 성립 과정
•노자 사상의 특징
학 습 •도가 사상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장자 사상의 특징
목 표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탐구하여 도가 사상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도가 사상의 세계관
노자 사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도가의 성립 중국의 춘추 전국 시대는 정치적으로 혼란한 시대였지만 사상적으로
는 풍성한 시대였다. 이 시기에 등장한 여러 사상의 주요 관심사는 사회의 혼란과 갈
등을 어떻게 해결하여 사람들이 평안한 삶을 살 수 있게 할 것인가였다. 노자는 당시
05 사회의 혼란을 극복할 새로운 질서로서 도(道)를 강조하고, 도에 따라 사는 것을 바람
직한 삶으로 보았다.
노자에 의하면 도는 만물의 근원이다. 그는 만물이 도에서 생겨나고 도에 따라 움직
인다고 하였다. 즉, 도는 만물을 낳는 근원이며, 그렇게 생겨난 만물이 움직이는 법칙
✽
이기도 하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도덕경(道德經)
노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도
가의 대표적인 경전이다. 도덕
10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경은 도(道)와 덕(德)을 중심으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고,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自然; 스스로 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설명
그러함)을 본받는다. - 노자, 『도덕경』 한 책으로, 노자는 여기서 자연
에 따르는 무위(無爲)의 삶을 강
조하였다.
노자는 모든 것이 도를 따르며,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고 하였다. 즉, 도는 세계가 운
행하는 자연스러운 법칙으로, 도를 따르는 것은 바로 자연을 본받는 것을 말한다. 이
15 는 자연을 본받는 삶이 가장 바람직한 삶이며, 자연을 본받은 도를 따를 때 사람들은
평안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노자의 사상에서 기준이 되는 것은 도이다. 도는 우주의 원리인 동시에 인간의 원리
이기 때문이다. 노자는 도가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 덕(德)이며, 도를 따
를 때 덕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20 그는 인간의 중요한 덕으로 무위(無爲), 무사(無私), 무지무욕(無知無欲), 겸하(謙
下)를 제시하였다. 무위는 일체의 인위적인 행위가 없음을, 무사는 사사로운 감
정이 없음을, 무지무욕은 욕심이 없는 순수함을, 그리고 겸하는 자신을 낮추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그중에서 최고의 덕은 무위라고 하였다. 즉, 자연을
본받은 도에 따르고 자연에 순응하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삶이 가장
25 바람직하고 덕 있는 삶이라는 것이다.
노자는 도에 따르고 자연에 순응함으로써 혼란한 사회의 질서를 바로
잡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유가의 인위적 윤리를 비판하고, 무위의 덕을
강조하였다. 즉, 일체의 인위적인 것을 버리고 무위의 덕으로 행하면 다스리지
않아도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無爲之治〕.
▲ 노자(老子, B.C. 579?~B.C. 499?)
6. 영원한 자유와 평등의 세계는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7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77 2018-08-06 오전 11:3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