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고 윤리와 사상
P. 69
해답 218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불교 사상은 모든 것이 서로 의존하는 관계에 있다는 ( ㉠ )의 세계관을 바
탕으로 한다. 또한, ( ㉡ )을 통해 고통에서 벗어나 열반을 추구하고, 중생 구
주요 용어ㆍ개념 제를 위해 ( ㉢ )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연기설
삼법인
사성제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팔정도
1) 불교는 깨달은 자(부처), 부처가 깨달은 진리(불법), 깨달음을 추구하는
대승 불교 사람들(승려), 이 세 가지가 있어서 성립하였다.
부파 불교 2) 기존 불교의 학문적 경향을 비판하고 불교의 혁신을 주장하며 일어난 것
교종 이 대승 불교 운동이다.
선종 3) 부파 불교는 이상적 인간상으로 깨달음을 얻어 중생 구제를 실천하는 사
람인 보살을 제시하였다.
4) 부처는 깨달은 존재이고, 자비를 실천하는 존재이므로, 지혜와 자비가 부
핵심 내용 정리 처의 두 가지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1 불교 사상의 특징
• 연기적 세계관: 이 세상 모
든 존재는 상호 의존적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관계에 있음.
1) 중관 사상 ㉠ 이 세상은 의식의 장난에 불과하고, 의식을 떠나 객
• 사성제: 네 가지의 성스러
관적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
운 진리
2) 유식 사상 ㉡ 모든 존재는 실체가 없는 공(空)이며, 양 극단에 대
고제 멸제 한 집착을 버린 중도(中道)가 진리이다.
현실의 괴로움 괴로움의 소멸
탐욕, 어리석음 팔정도
집제 도제 4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괴로움의 원인 깨달음의 방법
선정(禪定)이란 무엇인가? 밖으로 드러난 형상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 선(禪)
2 대승 불교와 부파 불교
이요, 안으로 마음이 어지럽지 않은 것이 정(定)이다. 밖으로 드러난 형상에 집
1) 대승 불교 착하면 안으로 마음이 어지러워지고, 밖에 드러난 모습에 집착하지 않으면 안에
• 대중의 구원 중시(보살) 있는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본디 성품은 그 자체가 맑고 고요하고, 그 자
• 자비의 실천 강조 체가 바르게 되어 있으나, 형상만 보고 생각하기 때문에 마음이 어지러워진다.
형상을 보되 마음이 어지럽지 않은 것, 이것이 참된 선정이다. - 혜능, 『육조단경』
2) 부파 불교
• 개인의 해탈 중시(아라한)
진정 올바른 반야(지혜)를 일으켜 살펴보면 찰나 간에 잘못된 생각은 모조리
• 깨달음의 지혜 추구
사라지며, 자신의 내면에 있는 본성을 인식하여 한 번 깨달으면 곧장 부처의 경
지에 이른다. - 혜능, 『육조단경』
3 깨달음의 길
1) 윗글과 관련 있는 불교의 종파의 명칭과 이 종파에서 제시하는 깨달음의 길은
교종 선종
(이론 중심) (실천 중심) 어떤 것일까?
경전의 이해 본성의 직관 2) 교종과 선종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불경, 설법) (참선, 명상)
4.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 6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7 2018-08-06 오전 11:3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