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고 윤리와 사상
P. 67



1





4-2 경전의 이해와 본성의 직관 학습 요소
•불교의 전파
•교종과 선종
학 습 •교종과 선종의 차이를 비교하여 각기 중시하는 깨달음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깨달음의 길
목 표 •깨달음에 이르는 불교의 다양한 수행 방법 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제시할 수 있다.




불교는 어떻게 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되었는가?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점차 남쪽과 북쪽 양방향으로 아시아 각국
에 전파되었다. 이때 남쪽으로 전파된 불교를 남방 불교, 북쪽으로 전

파된 불교를 북방 불교라 한다. 남방 불교는 주로 전통적인 부파 불교
05 였고, 북방으로 전파된 불교는 주로 대승 불교였다.
중국에는 1세기 무렵인 후한 시대에 처음으로 불교가 전해졌다. 4세

기경부터는 격의(格義) 불교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도가의 개념으로
불교를 이해하려는 것이었다. 5세기 이후로는 다양한 경전들이 번역되

면서 불교 이해의 수준이 높아졌다.
10 중국은 인도의 불교 경전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방대한 대장경을 만
들었다. 또한, 번역된 경전을 바탕으로 불교를 연구하여 중국적 특색

을 지니는 불교로 발전시켰다. 우리에게도 친숙한 『서유기』에 나오는
손오공의 스승이 삼장법사 현장인데, 그는 중국 불교 역사상 가장 유 ▲ 인도의 마하보디 대탑 석가모니가 보리수 밑에서 깨달
음을 얻은 곳에 세워졌다.
명한 승려이자 경전 번역가였다.
15
교종과 선종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한문으로 번역된 경전을 바탕으로 불교를 자기 나름대로 이해하여 체계화한 것이


교상판석이다. 중국 불교는 인도 불교와 달리 경전의 선후와 우열을 나름대로 취 ✽교상판석(敎相判釋)
부처가 일생 동안 행한 설법의
사선택하고, 특정 경전을 중시하여 그 교리를 더욱 체계화하였다. 그 결과 수·당 시
형식, 방법, 순서, 내용, 교리에
대에는 중국적 특색을 지니는 여러 종파가 성립하였는데, 크게 교종과 선종으로 나 따라 불교 경전을 분류하고, 이
를 체계화하는 일을 말한다.
20 누어 볼 수 있다.



교종의 특징 교종은 일반적으로 특정 경전을 토대로 하여 교리를 체계화하고, 이
러한 불교 경전의 이해를 중시하는 이론 위주의 종파라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천태
종과 화엄종이 대표적인 교종이다.

25 천태종이란 명칭은 실질적인 창시자인 천태 대사 지의의 호를 따서 지은 것이고, ✽지의(智 , 538~597)
중국 천태종을 창시한 인물로,
『법화경』을 중시하여 법화종이라고도 한다. 천태종에서는 부처의 설법이 대체로 『법
천태는 그의 호이다. 중관 사상
화경』을 설하기 위한 준비라 보고, 부처의 가르침 중에서 『법화경』을 가장 높은 것이 을 창시한 용수의 사상이 혜문
과 혜사를 거쳐 그에게 이어진
라 주장한다. 따라서 『법화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불교의 교리와 조직의 체계를 세
것으로 본다.
웠다.


4.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 6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5 2018-08-06 오전 11:35:53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