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고 윤리와 사상
P. 63



11





4-1 모든 존재의 실체 없음과 의식이 만든 현상 세계 학습 요소
•연기설과 삼법인
•사성제와 팔정도
학 습 •불교의 성립과 불교 사상의 주요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소승 불교와 대승 불교
목 표 •대승 불교의 중관 사상과 유식 사상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중관 사상과 유식 사상




불교는 어떻게 성립되었는가?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고타마 싯다르타에 의해 창시되었다. 지금의 인도와 네팔 ✽고타마 싯다르타(Gautama
Siddh rtha, B.C. 563?~B.C.
의 국경 근처에 있던 카필라국의 왕자로 태어난 싯다르타는 인간이 현실 세계에서
483?)
겪는 문제들에 대해 깊이 고민하였다. 그는 인간이 태어나서 늙고 병들어 죽는 생로 부처의 출가 전 이름이다. 흔히
‘석가모니’라고도 하는데 ‘석가’
05 병사(生老病死)를 비롯한 모든 것을 괴로움으로 보고, 이러한 괴로움의 원인을 깨달
는 샤카라는 부족의 이름이고,
아 그 원인을 제거하여 해탈과 열반에 이르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모니’는 성자를 일컫는 말이다.

싯다르타는 인간 존재의 근본적 한계를 느끼고, 그 괴로움을 벗어날 길을 찾다가
✽해탈과 열반

결국은 왕자의 신분을 버리고 출가하여 수행하였다. 당시의 인도 사회는 전통적 브 해탈은 모든 존재가 헛된 것임
라만교의 권위에 도전하여 새로운 종교가 등장하고 있었는데, 싯다르타도 이러한 종 을 깨달아 고통과 집착에서 벗
어나는 것을 말하며, 열반은 해
10 교의 수행 방식을 따라 출가 수행하였던 것이다. 탈로 모든 괴로움이 사라져 평
당시의 대표적인 수행 방법은 명상과 고행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도 궁극 온한 상태를 말한다.

적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던 싯다르타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해탈을 추구하였다. 그 ✽브라만교
는 통찰을 통한 명상으로 마침내 스스로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되었다. 고대 인도의 브라만(바라문)이
라고 불리는 사제 계급을 중심
불교는 인간 존재의 한계와 괴로움에서 벗어나려는 싯다르타의 문제의식으로부터
으로 한 전통적 종교로 훗날 힌
15 출발하였다. 깨달은 자를 뜻하는 부처의 또 다른 명칭은 ‘석가모니’이다. 석가모니는 두교로 발전하였다.
그 깨달음을 사람들에게 전파하였다. 불교는 깨달은 자, 깨달음의 진리, 깨달음을 추

구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성립하였다. 따라서 부처, 불법, 승려를 불교의 세 가지 보물
이라고 한다.





























▲ 깨달음을 설파하는 석가모니와 그의 가르침을 배우는 승려 ▲ 불법을 담은 팔만대장경
4.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인가? 6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61 2018-08-06 오전 11:35:52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