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고 윤리와 사상
P. 58



1






모둠 토론둠 토론 ‘도덕 본성’의 발현인가, ‘일반 감정’의 도덕적 조절인가?


이황의 수양론

마음의 이(理)는 너무나 넓어 잡을 수 없고 흐려서 그 경계
마음은 몸의 주인이고,
를 알 수 없으니, 실로 경(敬)으로 마음을 집중하지 않으면 어
경(敬)은 마음을 다스리는
떻게 그 성(性)을 보존하고, 그 본체를 세울 수 있겠는가? 이
방법이다. 경으로 마음을
다스리면 천리를 보존하고 마음이 발할 때는 은미하여 털끝처럼 살피기 어렵고 위태로워
인간의 욕망을 조절할 수 있다. 구덩이처럼 밟기 어려우니, 참으로 경으로 마음을 집중하지
않으면 어떻게 그 기미를 바르게 하고 실제의 작용에 통할 수 있
겠는가? 군자의 학문은 마음이 아직 발하지 않을 때 반드시 경을 위주로 하
여 존양(存養) 공부를 하고 마음이 이미 발했을 때도 역시 경을 위주로 하여
성찰(省察) 공부를 해야 한다. 이는 경학(敬學)이 처음과 끝이 되고 체와 용
을 관통하는 까닭이다. - 이황, 『천명도설 도여서』



이이의 수양론
성(誠)은 하늘의 참된
기질은 그릇과 같고 본성은 물과 같습니다. 깨끗한 그릇에 물이 이치이고 마음의 본체이다.
담긴 것은 성인(聖人)이고, 그릇에 모래와 진흙이 섞인 것은 중 성이 없으면 뜻을 세울 수 없고,
간쯤 되는 보통 사람이며, 완전히 진흙 속에 물이 있는 것은 맨 이치를 바로잡을 수 없으며,
기질을 변화시킬 수 없다.
밑의 사람입니다. 짐승들은 비록 막혀 있기는 하지만 물이 없지
는 않습니다. 비유하자면 물이 섞인 진흙덩이와 같아서 끝내 맑게
할 수 없으니, 물기가 이미 말라 버려서 맑게 할 방법도 없고 물이 있는 것이 보이지
도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물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 이이, 『논심성정』





토론 방법 • 이황과 이이의 수양론을 비교해 보고, 두 사람의 차이를 이해한 후 토론을 진행한다.
• 이황과 이이의 관점 중 한쪽을 택하여 이들의 주장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논거를 제시하며 토론한다.

다음 용어의 의미를 정리하고 이들의 관계를 생각해 보자.


■사단(四端)과 칠정(七情) ■이(理)와 기(氣)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 ■경(敬)과 성(誠)


이황과 이이의 심성론과 수양론을 정리해 보자.

심성론 마음의 수양 방법


이황




이이






56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56 2018-08-06 오전 11:35:47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