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고 윤리와 사상
P. 53











해답 218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유교 사상은 사람에 대한 사랑인 ( ㉠ )을 강조하면서 인간의 선한 마음을
통해 ( ㉡ )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공자의 사상을 계승한 맹자는 ( ㉢ )
주요 용어ㆍ개념 을, ( ㉣ )는 성악설을 주장하였다.

인의예지
수기이안인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존심양성
1) 한대에는 유교 경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훈고학(訓 學)
성즉리
의 경향이 두드러졌다.
심즉리 2) 남송 시대에는 왕수인이 성리학(性理學)을, 명대에는 주희가 양명학(陽
격물치지 明學)을 집대성하였다.
존양성찰 3) 주희는 ‘성즉리(性卽理)’를 주장하면서 인간의 선한 본성을 도덕적 행위
치양지 의 근거로 삼았다.
4) 왕수인은 심학(心學)의 체계를 확립하고, 심즉리(心卽理)를 바탕으로 주
지행합일
체의 도덕성 회복을 강조하였다.


핵심 내용 정리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1 유교의 성립과 발전 1) 공자 ㉠ 사람의 본성이 선한 것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
는 것과 같다.
• 유교의 성립: 공자의 사상
맹자와 순자의 계승 2) 맹자 ㉡ 사람의 본성은 악하다. 그러므로 교육과 제도적 규
• 유교의 발전: 훈고학 성 범으로 악한 본성을 바로잡아야 한다.
리학 양명학 고증학 3) 순자 ㉢ 자신을 극복하여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인(仁)이
다. 하루라도 자신을 극복하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
2 선진 유교의 특징
갈 것이다.
1) 공자
•인(仁): 사랑과 배려의 마음
4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정치사상: ‘정명론’ 주장
2) 맹자
<맹자와 고자의 논쟁>
• 도덕의 근거: 사단(四端)
고자: 사람의 본성을 인의(仁義)라고 하는 것은 고리버들로 그릇을 만드는 것과
•성선설 주장 왕도 정치
같다. 본성은 소용돌이치는 물과 같아서 동으로 트면 동으로 흐르고 서로
3) 순자 트면 서로 흐른다. 사람의 본성에 선과 악이 구분되지 않는 것은 마치 물
• 성악설 주장 화성기위 에 동서의 구분이 없는 것과 같다.
강조 맹자: 만일 고리버들을 깎아서 그릇을 만든다고 한다면, 사람의 본성을 해쳐서
• 윤리 사상: 교육과 예 강조 인의를 행하도록 한다는 말인가? 물에는 동서의 구분이 없지만 상하의 구
분이 없겠는가? …… 사람의 본성이 선한 것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3 성리학과 양명학 비교 것과 같다. 사람의 본성은 선하지 않음이 없고, 물은 아래로 흐르지 않음
이 없다. - 『맹자』, 고자 상 편
성리학 양명학

1) 위의 논쟁에서 인간의 본성에 관한 두 사람의 관점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보자.
사물의 주체의
이치 규명 도덕성 회복
2) 위의 논쟁에서 맹자는 도덕의 성립 근거를 무엇에 두고 있는지 말해 보자.
성즉리 심즉리
격물치지 치양지
존양성찰 지행합일

2. 사랑〔仁〕에 바탕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5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51 2018-08-06 오전 11:35:45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